늦장 대응이 부른 참사...탈북자 9명 결국 다시 북한으로 송환돼 '안타까움'

정치 / 이연희 / 2013-05-30 01:54:37
  • 카카오톡 보내기
▲ @Newsis
[일요주간=이연희 기자] 사선을 넘어 북한에서 탈출을 시도했던 꽃제비 등 탈북자 9명이 결국 다시 북한으로 송환됐다.

29일 정부관계자에 따르면, 라오스에서 추방된 탈북자 9명은 28일 중국 베이징에서 고려항공편을 통해 북한으로 되돌려졌다.

탈북자들은 27일 밤 11시께 이들과 동행한 북측 관리들의 감시 속에 베이징에 도착했다.

이에 우리측 대사관 직원들도 공항에 나가 평양행 항공기에 탑승하는 승객들의 신원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등 북송 저지를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북측은 끝내 우리 대사관 직원들을 따돌리고 탈북자들을 평양행 고려항공편에 탑승시켰다.

송환을 담당한 북측 인사들이 어떤 방식으로 우리 측의 감시 활동을 피할 수 있었는지는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앞서 북한은 라오스에서 강제 추방 명령을 받은 탈북자들을 항공편으로 중국 베이징에 강제 이송했다.

북한이 이례적으로 추방 명령을 받은 탈북자들을 항공기를 이용해 출발지로 이송하자 탈북자 중 주요 인사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그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리측 대사관 직원들은 공항에서 북송되는 탈북자들의 신원을 일일이 육안으로 보았으나 저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탈북자들이 라오스 현지에서 불심검문을 당해 구금된 초동 단계부터 적기 대응을 하지 못했다.

라오스 정부를 상대로 설득했으나, 면담을 관철시키지 못했고, 정보전에서도 북한 측에 밀리는 등 일찌감치 한계가 드러났다.

탈북자들이 라오스 현지에서 붙잡히고 추방된 것은 같은 사회주의권인 라오스 정부를 상대로 한 북한의 총력전도 한몫을 했다.

북한 측이 라오스 정부에 자국민 인도를 거세게 압박하자, 이민 당국이 북한 측 인사들의 신병을 넘긴 것.

북한 측은 탈북자들이 라오스에서 구금돼 있는 동안, 이들의 중국 여행 관련 증명서를 만드는 등 인신구속의 요인이 될 수 있는 불법 월경자의 신분을 세탁했다.

이들이 이 증명서를 지니고 있는 한 신병을 확보할 수 없어 중국 정부는 물론, 우리측이 이들의 북송을 저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

지금까지는 탈북자들이 라오스에 도착하면 거의 한국행 비행기를 탈 수 있었다. 현지에서 붙잡히는 경우에도 1~2주 후에는 우리 측에 신병이 넘어왔으며, 이후 예외 없이 한국으로 왔다.

이에 정부는 앞으로 탈북자 강제 추방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동남아 국들과도 전반적 협조체제를 재점검하기로 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