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사원은 이날 해명자료를 내보내 "원전 분야의 부품 구매나 납품비리 등을 포함한 '국가핵심기반시설 위기관리실태' 감사결과를 지난해 11월 확정해 12월 공개한 바 있다"며 "원전비리를 적발하고도 공개하지 않았다는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발표했다.
당시 감사원은 한국수력원자력, 원자력안전위원회,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등을 감사한 결과 영광 원전에 이어 고리원전에도 시험성적을 위조한 짝퉁 부품이 공급된 것을 적발한 바 있다.
이에 감사원은 "당시 감사에서 국내 납품업체 2개사에서 87건의 시험성적서(138개 품목•966개 부품)를 위조해 제출하고 업체들이 납품가액을 높이기 위해 담합 입찰하는 등 원전부품 비리와 관련된 업체들의 부당행위를 적발해 사문서 위조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고 말했다.
또 "한수원 사장에게는 허위 시험성적서류로 납품된 기자재의 품질기준 적합여부를 검토하고 해당 업체에 대한 제재조치를 하도록 통보하는 등 총 51건의 위법•부당사항에 대해 엄중 조치를 요구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도 "지난해 말 원전부품 품질검증서 위조문제로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경주 신월성 1, 2호기를 포함한 전 원전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했다"며 이 같은 보도를 부인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검찰과 감사원, 민관 합동조사단 등을 모두 동원해 원전 비리 전반을 다시 들여다 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원전 비리는 국민의 안전이 걸린 만큼 아주 심각한 문제"라며 "대통령도 이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검찰은 이미 원전 비리 사건을 종합적으로 수사할 맞춤형 태스크포스(TF)팀을 부산지검 동부지청에 설치하고 압수수색을 실시하는 등 본격 수사에 착수한 상태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