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민주당 김진욱 부대변인은 “삼성전자의 안전불감증에 국민은 불안하다”며 “초일류기업을 자부하지만, 안전관리만큼은 3류 기업이라는 오명을 면하기 어렵다”는 논평을 내놨다.
삼성전자의 가스누출 사고는 올해 1월과 5월, 인명피해를 낳은 불산 누출사고에 이어 벌써 네 번째이다.
김진욱 부대변인은 “삼성전자가 불산 누출사고 이후 안전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지만 국민들은 더 이상 믿지 못해 불안감이 커져가고 있다”며 “안전관리 시스템 매뉴얼이 있는지 조차 의문을 갖게 만든다”고 비판했다.

더불어 “이번 사고에 대해 환경부 등 관계 당국의 철저한 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라며 “구미 불산 누출사건 이후 아직까지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국가적 재난시스템이 정비되어 있지 않은 것에 대해 관계당국이 철저한 관리대책을 수립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심상정 의원(진보정의당)도 보도자료를 통해 “삼성전자 화성공장 11라인은 이미 2번의 큰 산업안전사고가 발생한 곳인 만큼 고용노동부와 환경부가 즉각적인 산업안전보건법, 유해화학물질관리법 등 관련법의 위반여부가 있는지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현재 부상자들이 사내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으므로 정부의 산업안전보건의가 이들의 건강상태 등을 면밀하게 파악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편 암모니아는 반도체 공정 중 증착공정(deposition), 연마공정(chemicalmechanical polishing)에서 사용된다. 반도체 공장에서는 웨이퍼 가공과정에서 생성된 웨이퍼 표면의 산화막 등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연마하기 위해 암모니아를 비롯해 염산, 질산, 암모니아수, 수산화칼륨 등 다양한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번 암모니아 누출사건이 발생한 삼성전자 화성공장 11라인은 올해 1월과 5월에 불산이 누출되어 1명의 노동자가 사망했으며 지난 2월에는 고용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 총 1,934건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례가 확인된 바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