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건 감사원장이 자진사퇴한 가운데 그의 사퇴 배경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그는 22조원의 예산이 투입된 MB 정부의 4대강 사업이 국토대운하를 염두에 두고 준공됐다는 감사결과를 발표해 정치감사라는 논란에 휩싸였던 장본인이기도 하다.
지난 26일 오전 감사원에서 진행된 이임식에서 양건 감사원장은 “재임 동안 안팎의 역류와 외풍을 막고 직무의 독립성을 끌어올리려 안간힘을 썼지만 역부족을 절감한다”고 밝혔다. 양 전 원장이 실제 ‘외풍’이 존재했음을 시인한 셈이다.
이를 두고 청와대의 직접적인 개입, 혹은 사퇴를 종용한 것이 아니겠냐는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감사원은 권력기관으로부터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헌법상 4년의 임기가 보장된다.
이날 그는 “정부교체와 상관없이 헌법이 보장한 임기 동안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그 자체가 헌법상 책무이자 중요한 가치라고 믿어왔다”면서 “그러나 이제 원장 직무의 계속적 수행에 더 이상 큰 의미를 두지 않기에 이르렀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현실적 여건을 구실로 독립성을 저버린다면 감사원의 영혼을 파는 일”이라고도 언급하며 임기 동안 많은 갈등과 어려움이 있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청와대 측에서는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정현 홍보수석은 “새 정부는 양 전 원장의 임기를 보장하기 위해 유임했는데 어쨌든 자신의 결단으로 스스로 사퇴를 한 것에 대해서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양건 감사원장의 사퇴를 두고 크게 세가지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4대강 감사결과에 따른 친이계의 압박, 청와대와의 인사 갈등설, 감사원 내부갈등설 등이 거론되고 있는 것.
민주당은 청와대와 새누리당을 지목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청와대가 논공행상 인사를 위해 양원장에게 압력을 가했다는 설이 있고 4대강 사업을 둘러싼 새누리당 내 권력 암투라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22조원을 쏟아부은 4대강 사업의 부정을 감싸려는 전현정권의 밀실거래인지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영호 사무총장은 “양 원장은 평소 ‘코드감사’, ‘정치감사’라는 말을 굉장히 힘들어했다”면서 “평소에 4대강 감사 결과에 대해 확신을 보이면서 ‘오해받아 안타깝다’는 말을 여러 번 했다”고 해명하며 사태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