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G 민영진, ‘사면초가’에 몰린 사연...부당해고·특혜 계약· 부동산 비리 논란

e산업 / 강지혜 / 2013-08-29 10:46:43
  • 카카오톡 보내기
사 측 “퇴직과정 중 강압·특정인 특혜·부동산 비리 사실과 달라”

▲ KT&G 민영진 사장 ⓒNewsis
[일요주간=강지혜 기자] KT&G 민영진 사장이 잇따른 논란으로 사면초가에 몰린 형국이다.


지난 2010년 실시한 명예퇴직이 사실상 부당한 강제퇴사였다는 전 KT&G 전 직원들의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원전 브로커오희택 씨가 KT&G와 컨설팅 계약을 맺고 여권 실세에게 사업을 참가 시킨 사실이 드러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게다가 KT&G와 청주시의 부동산 매매과정에서의 비리 의혹까지 제기되는 등 민영진 사장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첩첩산중이다.


겉으론 명예퇴직, 실상은 강제퇴직 논란


KT&G 전 직원인 A씨는 28<일요주간>과의 전화통화에서 지난 2010년 직원 520명에 대한 명예퇴직은 사실상 사측의 압박에 의한 강제퇴직이었다고 밝혔다.


A씨는 퇴직 기준도 없이 무조건 나가라고 했다퇴직 실시 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괴롭고 억울하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KT&G 전 직원인 B씨도 일을 하고 사무실로 들어와보니 문자가 와 있었다회사 본부에서 권고 대상자라고 하는 내용이었다고 말했다.


이에 B씨는 권고 대상자의 사유와 절차에 대해 사측에 문의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으며, 강요와 압박에 의해 결국 퇴사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B씨는 억울한 나머지 중앙노동위원회에 해당 사실을 알렸다그러자 사측은 직원 2명을 매수해 중상모략까지 해서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만들어놓고 해고 사유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퇴직을 16개월 남긴 C씨도 당시 사측의 강압에 못 이겨 퇴사를 결심했다고 주장했다.


C씨는 퇴직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회사 사정이 좋지 않다며 나가달라고 했다자발적인 명예퇴직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점장은 위에서 명단이 내려왔다고 했다해고에 반항하는 사람들은 이상한 업무까지 꼬투리 잡혔다고 한다고 말했다.


퇴직 당시 팀장이었던 D씨도 퇴사 과정의 억울함을 호소했다.


D씨는 퇴사를 담당하는 부장이 지점을 방문해 명예퇴직을 설명했다명예퇴직을 하는 쪽으로 많이 유도했지만 명예퇴직을 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일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후 사측은 D씨 등 명예퇴직을 거부한 4명에 대해 본부 대기발령을 내렸다.


D씨는 본부 감사실 3사람이 지점을 방문했다이들은 양말 몇 켤레를 착복하고 담배주문 시 정확하게 일처리를 못했다는 말도 안 되는 이야기로 추궁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D씨는 정확하게 조사하고 진상을 밝힐 것을 요구했지만 감사팀은 소극적인 태도로 나왔다고 D씨는 설명했다.


D씨는 본사에서는 명예퇴직을 하지 안하면 경기도의 한 연수원에 가서 교육을 받게 되는데 점수가 좋지 않을 경우 명예퇴직이 아닌 해고를 당하게 된다고 회유하고 강압했다고 말했다.


이어 명예퇴직을 해서 조금이라도 돈을 받고 나가는 게 낫지 않겠냐고 했다결국 못 버티고 명예퇴직을 하겠다고 도장을 찍었는데 자발적으로 나간 거라고 한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결국 대규모 명예퇴직을 하면서도 퇴직 대상자들에게 퇴직 사유에 대해 명백히 고지하지 않았으며, 강압에 의한 퇴직이 이뤄졌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당사자가 원하지 않더라도 회사 측의 퇴직 조건을 받아들이고 퇴직에 합의하면 사직이지만 근로자가 동의하지도 않고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단절시킨 것은 해고라며 부당한 해고가 이뤄질 경우 노동위원회의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통해 구제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KT&G 측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KT&G 관계자는 “2010년 기업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명예퇴직을 실시한 바 있다당시 회사는 각 기관에 명예퇴직 실시 계획안을 공지했으며 명예퇴직 결정은 전적으로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판단에 따라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명예퇴직을 희망하지 않은 사람들은 모두 현재까지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다명예퇴직 과정에서 강압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원전 브로커에 컨설팅비 지급한 이유는?


KT&G는 원전부품업체 한국정수공업으로부터 거액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원전 브로커오희택 씨에게 컨설팅비 대가로 1억 원을 지불한 사실이 확인돼 그 배경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KT&G는 지난 5월 미얀마의 담배공장 설립과 관련해 오 씨와 컨설팅 계약을 맺었다.


KT&G는 오 씨에게 계약금으로 1억 원을 지급했으며, 이후 미얀마 현지법인과 본 계약을 체결하거나 담배공장이 들어서면 추가 보수를 오 씨에게 제공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 씨는 딸 명의의 회사를 통해 KT&G의 컨설팅 비를 수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오 씨가 한국정수공업으로부터 컨설팅 비를 수수할 때도 미국의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컨설팅 비를 제공받고 로비 자금으로 사용한 점으로 미뤄 KT&G의 컨설팅비가 어떠한 용도로 사용됐는지 의혹이 계속되고 있다.


미얀마 담배공장 설립 사업에는 여권의 실세로 불리는 A씨의 회사가 KT&G의 하도급 업체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일각에서는 해당 계약이 민 사장의 연임에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KT&G 측은 계약 과정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KT&G 관계자는 오희택 씨와 올해 5월 계약한 사실은 있지만 해외 사업 진출을 위한 정상적인 컨설팅 계약이었다계약과정과 내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계약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계약 당사자 상호간 비밀유지조항이기 때문에 공개가 어렵다다만 해외 담배사업 진출과 관련해 개인적인 특혜나 사업권을 주는 내용은 계약 내용에 포함돼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KT&G-청주시 부동산 비리 의혹...진실은?


KT&G는 청주시에 공장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뇌물을 건냈다는 의혹에도 휩싸여 곤욕을 치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지난 19일 공장 부지를 지방자치단체에 비싸게 팔기 위해 공무원에게 금품을 전달한 혐의(뇌물공여)KT&G 부동산 사업단장 최모(59)씨와 이모(52)씨 등 전·현직 임원 2명과 용역업체 대표 강모(49)씨를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강씨는 201011월부터 12월까지 청주시 기업지원 과장으로 근무하던 이모(51·구속기소)씨에게 자신이 맡던 KT&G 청주 공장부지의 매각이 높은 가격에 이뤄지게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총 5차례에 걸쳐 66000만원을 건넨 혐의다.


조사결과 이씨는 강씨에게 먼저 접근해 공장부지를 고가로 매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겠다며 이에 대한 대가를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강씨는 KT&G 부동산사업단장인 최씨와 부동산사업실장인 이씨에게 해당 사실을 알렸으며, 이들은 금품을 건네기로 결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강씨가 공무원 이씨에게 건넨 뇌물은 KT&G로부터 받은 용역비 136000만원의 절반 정도이다.


청주시는 문화시설 설립을 위해 KT&G 소유의 청주 연초제조창 공장 부지(53000규모)250억 원에 매입할 계획이었으나 KT&G400억 원을 제시해 협상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수차례 협상 끝에 이들은 201012월 해당 부지를 350억 원에 거래했다.


이 같은 부동산 비리에 대해 KT&G 측은 부동산 매매 과정에서 고가매각은 없었다고 밝혔다.


KT&G 관계자는 청주 공장부지 매매가격은 청주시와 용역업체 양측이 조사한 감정평가를 통해 산정한 가격이며, 고가매각이 아니다향후 재판과정에서 사실관계가 명확히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