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현 경제부총리는 NH농협, 국민, 롯데 등 카드3사의 개인정보 유출사태에 대한 금융당국의 입장발표에서 “어리석은 사람은 무슨 일이 터지면 책임을 따진다”고 말해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듯 한 발언으로 한차례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이에 박 대통령은 공직자들의 발언은 더욱 신중하고 무게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현오석 경제부총에게 일종의 강한 경고성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또한 “본인들이 항상 국민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국민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는 자세를 갖는다면 그 본질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짚으며 “앞으로 공직자 모두가 정말 국민을 위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 일해 주기를 바라면서 그런 일이 재발할 시에는 그 책임을 반드시 물을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경고성 발언에는 이번 현안에 대한 현 부총리의 책임은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다는 뜻도 담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 한정애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인사권자인 박 대통령의 총체적 책임을 강조했다.
물의를 일으킨 현 부총리의 발언에 박근혜 대통령이 남 탓을 한다며 한 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의 오늘 발언을 보면 2012년 대선과정에서 약속한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역시 누군가의 탓으로 전가하실 것이 아닌지 심히 우려가 된다”고 꼬집었다.
정의당도 이날 박 대통령의 유감표명에 대해 ‘옐로카드’라고 평하며 ‘레드카드’를 던져야했다고 꼬집었다. 금융질서를 어지럽힌 근본문제는 바로 경제수장의 무능력에 있다며 이정미 대변인은 “망언은 조심하고 삼가면 되지만 정작 국민들이 문제 삼는 것은 이번 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조차 못하고 제대로 된 수습 방안도 내놓지 못하는 무능력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들과 금융사기 피해자들의 분노는 더 이상 지금의 상황을 기다려줄 수 없다”며 “즉각 현오석 부총리와 금융위원장, 금감원장을 경질하라”고 촉구했다.
더불어 이 대변인은 오는 2월 임시국회에서 이번 사안에 대한 경제부처의 국정조사와 원인규명, 대책마련 등을 촉구하며 재발을 막기 위한 법안 마련을 위한 정치권의 노력을 강조하기도 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