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한순간 일이 꼬이기 시작했다. 전국구 국회의원이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에 출마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했고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기어코 출사표를 던진 때문이었다.
이와 관련 후일 요로를 통해 학인해본 바 이명박 전 대통령 측에서 서울시민을 상대로 사전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정원식 전 총리보다 우세하게 나타났고, 결국 그를 바탕으로 과감하게 서울시장 후보에 도전했음을 알게 되었다.
여하튼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고집으로 인해 졸지에 추대 대회가 경선으로 변질되었다. 그러니 청와대에서 바라볼 때 이명박 전 대통령이 곱게 보일 턱이 없었다. 그리고 결국 역시 요로를 통해 정원식 후보를 압도적으로 당선시키라는 지상명령이 하달되었다.
차마 부끄럽지만 실무진들은 당 지도부 아니 청와대의 지시에 따라 경선을 이끌어갔다. 하여 실무 팀에서는 여러 가지 트릭을 써서 당내 지지기반이 취약했던 정원식 전 총리가 압도적인 표 차이로 서울시장 후보에 당선되도록 만들었다.
물론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도 그러한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모른 체하며 끝까지 경선에 임했던 사유는 미래를 보았기 때문이라 판단되었다. 그런 연유로 경선에서 패하자 정원식 후보 선거대책본부장을 자임하였고 결국 후일 대통령까지 오르게 된다.
지금 새누리당에서 이와 같은 상황이 재현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새누리당이 김황식 전 국무총리를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 참여시키려 애쓰고 있는데 참으로 한심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김황식 전 총리 입장에서 살펴보자. 당내 지지 기반이 전무한 김황식 전 총리가 당내 경선에서 정상적인 방식으로 당선이 가능할까. 당선된다면 그게 이상하다. 이상할 정도가 아니라 기적이다.
그렇다고 당 대표가 삼고초려해서 모신 분을 경선에서 떨어트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는 정치를 떠나 인간의 도의상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당 지도부는 반드시 비정상적인 방식을 사용해야한다.
그런데 상대가 누구인가. 아직도 대통령에 대한 꿈을 지니고 있는 노련한 정치인인 정몽준 의원이다. 그에게 서울 시장 후보 경선은 도약의 발판이요 남은 정치 인생 최대 승부수다.
그런 정몽준 의원에게 경선에서의 비정상적 방식이 통용될 수 있을까. 천만에다. 정 의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 처럼 미래를 그릴 입장도 아니다. 아울러 경선 승리는 일종의 숙명으로 경선에서 비정상적 방식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이런 경우 양자 간 경선이 실시된다면 결과는 자명하다. 그야말로 이번 서울시장 선거 나아가 금번 실시되는 지방선거는 한 마디로 낫씽이다.

- 장편 소설 : 수락잔조, 여제 정희황후, 허균 서른셋의 반란, 매화와 달, 묘청, 소년 박정희 등 다수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