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Newsis | ||
이렇듯 협력업체 위에 군림하는 대기업 임원들의 상납비리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납품 계약을 대가로 3차 협력업체가 2차 협력업체에, 2차 협력업체가 1차 협력업체에 먹이사슬처럼 금품을 건네며 협력업체와 대기업간의 ‘갑을관계’가 상납 고리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비정상적 관행이 고착돼 투명한 기업 활동을 저해하고 사회 신뢰를 훼손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자 임원들이 골프·룸살롱 접대를 비롯해 억대의 금품까지 상납 받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글로벌 기업 삼성전자의 임원들은 억대 연봉을 받는데도 노골적으로 ‘갑’의 지위를 악용해 뒷돈을 받아 챙기고 있었던 것이다. 납품업체 측에 정기적인 상납을 요구하고 이에 응하지 않으면 거래를 끊어 부도에 이르게 하는 등 부도덕한 행동이 폭로돼 파장이 일고 있다.
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 간부들이 협력업체들로부터 억대의 금품을 상납 받은 혐의로 처벌받거나 재판중이라고 지난 14일 <조선비즈>가 보도했다.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 테스트 담당자 김모 수석은 협력업체로부터 4억 7,000만원 상당을 금품을 받고, 회사에 수억 원대 손해를 끼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김 수석은 지난 7월 1심에서 징역 3년, 추징금 4억 7,950만 원을 선고받았으며 항소를 제기해 현재 2심이 진행 중이다. 관계자 4명은 징역 1년 6월·1년에 집행유예 2년 등을 선고 받았다.
반도체 기능 테스트 장비인 ‘지그’를 발주하는 데 관련해 핵심적인 위치에 있었던 김 전 수석은 자신의 위치를 악용해 협력사 김모 사장과 짜고 장비의 가격을 시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발주했다. 또한 그 차액은 협력사로부터 현금으로 돌려받고 “매출이 늘었으면 그에 대한 대접을 해라”며 수차례 상납을 요구했다.
다른 삼성전자 임원들은 수시로 골프 접대 등을 요구했고 이에 협력사들은 내기 골프와 포커 등을 치며 돈을 잃어줘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들 협력사들은 수십 차례 상납요구가 있었고, 도박과 룸살롱·요트 접대도 해야 했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지난 2일에는 삼성전자 이모 전 부장이 2010년부터 최근까지 납품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수차례에 걸쳐 10억 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다. 수원지검 안산지청은 삼성전자에 휴대전화 부품을 납품하는 협력업체 대표와 이 전 부장 등 10명을 무더기로 구속 기소했다.
뿐만 아니라 삼성디스플레이의 임직원도 대가성 상납금을 받아 온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12월 삼성디스플레이 이모 전 수석은 휴대폰 부품을 생산하는 협력사로부터 2억 1.000만 원 상당의 상납금을 받은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수석은 설비투자 담당자로서 자동화물류설비 관련해 협력사의 편의를 봐주고 총 2억 원을 받은 혐의로 1심과 2심에서 모두 유죄 판결을 받았다.
잇따른 상납 비리 사건에도 삼성전자는 개인이 저지른 범법행위일 뿐 회사와는 관계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장기간에 걸친 회사 임직원들의 비리가 가능했던 것은 내부 감사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반증으로, 삼성은 그룹전반적인 내부관리에 소홀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갑’의 지위를 악용해 상납을 요구하는 삼성그룹 임원들의 부도덕한 행동이 연이어 폭로되자 도덕불감증이 그룹 전체에 만연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마저 낳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