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Newsis | ||
지난 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영주 의원은 금호타이어가 조지아 공장 건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채권단에 제출한 보고서 내용이 허위로 기재됐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금호타이어가 채권단에 제출한 'KTGA(금호타이어 해외법인) 투자타당성 검토' 보고서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현대·기아차 임원이 어느 공장이든 먼저 (미국에) 진출하는 업체에 우선적인 m/s(시정점유율)를 부여하겠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결국 허위 보고서가 워크아웃 기업의 해외투자 논란을 잠재우고 채권단의 승인을 받아 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이같은 허위 보고서 내용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채 주 채권자인 산업은행 기업구조조정부에서 작성하고 채권단에 발송한 ‘금호타이어 제14차 운영위원회 부의안건 검토’ 중, ‘제 1호 의안, 美 조지아 생산공장 투자 승인의 건’ 상의 부의내용 검토에는 “한국타이어가 최근 미(美) 테네시주(州)에 현지공장 건설을 착수하고 현대·기아차가 미(美) 현지공장 보유기업에 납품 우선권을 부여하기로 함에 따라 북미지역 OE(기본형 출고타이어) 시장 잠식이 예상된다”라고 명시돼 있다. 이 내용은 금호타이어가 납품 우선권을 부여받기 위해선 하루빨리 현지공장 건설을 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현대·기아차 측은 전혀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우선 물량 배정에 대해서는 검토한 바도 없고 전혀 사실이 아니다. 자동차 부품 구매는 시장상황, 가격, 품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장 보유여부 등으로 사전에 특정기업에 대한 구매나 약정 의사를 표현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공식 해명했다.
김 의원은 “워크아웃 졸업 심사도 하지 않은 기업을 상대로 4,0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승인한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면서 채권단 측이 보고서 내용에 대해 검증을 제대로 하지 않은 점에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금호타이어의 해외투자 건은 채권단의 객관적이고 투명한 검증과 투자타당성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7월, 금호타이어 노사는 2010년 1월 워크아웃 돌입 후 최대규모의 해외투자인 미국 조지아 공장 건설 재개를 두고 갈등을 빚은 바 있다.
당시 노조 측은 정상이 아닌 기업이 미국에 공장을 건설한다는 것을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며 무리한 사업 확장보다는 워크아웃 졸업을 위해 내실경영을 촉구한 반면 회사는 미래를 위한 결정이라며 공장 건설을 고수했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6월 해외투자 승인을 받은 상태로 미국 조지아주 메이컨에 4억 1,300만 달러를 투자해 완성차용 타이어 공장을 건설, 2016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올해 하반기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