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Newsis | ||
교육부는 앞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세월호 관련 공동수업, 학교 앞 1인시위, 리본달기, 중식단식 등 세월호와 관련된 교사들의 활동을 전면 금지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세월호 특볍법 제정과 관련된 교사들의 행동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고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편향된 시각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 움직임을 막기 정치적인 횡포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교육부가 세월호 관련 자발적인 교사실천을 '정치적 중립위반'으로 몰아가는 것은 억울하게 제자와 동료를 잃은 교사, 학생들에게 세월호 참사의 진상과 교훈을 알 권리를 훼손하는 비교육적인 조치"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생명의 존엄과 안전을 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실천운동을 계속 전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교육단체인 좋은교사 운동도 "세월호 참사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전 국민의 슬픔으로 이를 슬퍼하고 기억하는 것은 국민의 한 사람으로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이라며 "교육부가 이를 정치적인 행위로 해석하고 금지하는 것이야말로 더욱 정치적인 행위"라고 질타했다.
논란이 커지자 교육부는 해명에 나섰지만 오히려 '말 바꾸기'라는 역풍을 맞고 있다.
교육부는 보도 자료를 통해 "리본 달기는 세월호 애도를 위해 개인이 가슴에 다는 리본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전교조가 학생들과 함께 추진하는 '학교 나무 한 그루에 애도와 약속의 리본 묶기' 등의 이벤트성 활동을 의미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