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연합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획재정부가 동계올림픽 관련해 확정한 예산은 13조 원으로, 비드파일(유치신청서)을 제출할 당시인 8.8조에서 약 4.2조가 늘었다.
환경부는 올림픽 개최 인근 지역 개발 수요에 따라 취수량이 부족해 평창 대관령 횡계리에 댐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약 600억 원이나 되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
녹색연합은 이 사업 예정지가 대관령 목장 바로 아래 계곡부에 위치해 저수지 건설 이후 식수공급의 목적을 달성할 만큼 유지관리 될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게다가 문체부는 '화장실바로쓰기운동'과 '기초질서지키기운동' 등 평창올림픽 사업의 목적과 상관없는 세부 사업을 주도해 3억 원가량을 증액하기로 결정한 상태다.
이에 녹색연합은 문체부가 평창동계올림픽 특구사업을 통해 지역내총생산이 20% 증가된 6조 2,898억 원으로 전망했지만 이는 과다한 예측임을 지적했다.
녹색연합은 또 정부가 최근 올림픽 개·폐막식장을 4만석 규모의 관람석에서 1만 5,000석 규모로 축소결정했지만 횡계리의 주민이 4,000명인 것을 고려했을 때 올림픽 이후 경기장이 적자 운영될 것임을 지적했다.
녹색연합은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해 국고와 지방재정 투여의 적정성을 살펴야하는 국회는 오히려 관련 예상을 증액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국회가 2015년 중앙정부 예산안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평창동계올림픽 관련 사업예산을 제대로 살펴보고 있는 것인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가) 향후 활용계획이 명확하지 않은 경기장 건설은 철거를 전제하거나 기존 경기장을 보완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찾고, 평창동계올림픽 관련 시설 및 지원 예산도 예산투여 대비 효과에 대한 검토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