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5천억 혈세 투자 '오파리노' 수익률 처참...은폐 '급급'

e산업 / 박은미 / 2014-12-09 14:55:46
  • 카카오톡 보내기
ⓒ정의당 박원석 의원실
[일요주간=박은미 기자] 5,500억의 국민혈세가 들어간 국민연금공단의 프랑스 오파리노 쇼핑센터 투자의 수익률이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연금이 위탁운용사와의 비밀 계약 등을 이유로 투자 성과에 대한 공개를 거부해온 가운데 내부 투자 기준에 못미치는 ‘부적정’ 투자를 했다는 우려가 현실로 드러났다.

지난 2010년 국민연금은 “유럽내 최고 부촌에 위치한 5,500억원 규모의 초대형 쇼핑몰을 매입했다”며 프랑스 투자를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이후 2011년까지 오파리노 지분 75%를 매입하기위해 5,000억 원 이상을 들였고, 쇼핑센터 보수공사에 500억 원을 추가로 투자했다.

당시 국민연금은 임대율 96%와 잔여임대기간 6년인 오파리노에 대한 투자로 향후 매년 8% 이상의 수익률과 높은 자산 가치 상승을 이룰 것이라고 자신했다.

하지만 2011년 감사원이 국민연금의 오파리노 투자에 대해 ‘부적정’ 통보를 내리며 시장의 우려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국민연금이 자문기관으로부터 투자 수익률이 잘못 산정된 부실 자문을 받았다는 감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감사원 감사 결과에 따르면 오파리노에 대한 국민연금의 명목투자수익률은 적정 투자기준인 6.7%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민연금은 영국계 위탁운용사인 락스프링이 부동산 매입가를 실제 매입가보다 낮게 잡아 계산한 수익률 9.8%만을 근거로 투자 결정을 한 것이다.

정의당 박원석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 국민연금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와 같이 감사원이 ‘부적정’ 판단한 오파리노 투자의 실제 운용 성과도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몇달간 박 의원은 거액이 투입된 오파리노 운용 성과에 대해 공개할 것을 국민연금에 요구해왔으나 국민연금 측은 “공동투자자와의 정보 보호 조항에 의거”해 공개가 불가능하다고 비밀에 부쳐왔다.

하지만 오파리노 지분 25%를 보유하고 있는 영국계 부동산 회사 해머슨의 경우 임대 수익 등이 포함된 재무제표를 매년 공시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국민연금은 뒤늦게 배당금 현황을 공개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연금이 오파리노 투자로 배당받은 금액은 한화로 100억 원(756만 유로) 가량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5,500억 원 가까운 총 투자액의 2%에도 못 미치는 처참한 결과다.

국민연금은 “설비투자와 같이 효익이 발생하는 자본적 지출 등을 반영하면 정확한 투자액은 210만 유로 한화 3,600억 원으로 실제 배당률은 3.8%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또한 위탁운용사인 락스프링이 제시했던 수익률 9.8%는 물론 국민연금 내부의 해외부동산 투자 기준인 명목수익률 6.7%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은 “예상 수익률 9.8%는 오파리노의 지분을 100% 보유하는 것을 기준으로 산정된 것”이라며 “현재 75%의 지분만 보유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3.8%도 나쁜 성적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국민연금의 해외 부동산, 인프라 투자 내역 역시 베일에 쌓여있다는 지적이다.

국민연금은 2009년부터 현재까지 총 18건의 해외 부동산.인프라에 투자해 왔으며, 투자 규모는 2010년 약 5조 6천억원에서 올해 7월 현재 15조원을 넘어섰다.

이와 관련 박원석 의원은 해외부동산·인프라 매도 내역 등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으나 국민연금은 해외 부동산을 소유한 법인을 공개하지 않거나 개별 위탁운용사에 지급한 내역도 ‘공동투자자와의 정보 보호 조항에 의거’해 공개가 불가능하다고 밝혀 왔다.

거듭된 요청에 국민연금은 부동산과 인프라 투자처를 확인할 수 없도록 임의의 프로젝트 명칭을 제출하거나 소유 법인명을 제외한 건물명칭 등을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부동산.인프라 투자지침 공개 요구에 대해서는 “해외 대체투자지침은 공단의 투자전략이 기재된 투자매뉴얼로서 투자대상 및 기준 등이 기재되어 있어, 동 자료가 공개될 경우 경쟁사에게 공단의 투자가격이 그대로 드러나게 되어 투자 및 매각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한다며 공개를 거부했다.

박 의원은 “공공기관인 국민연금이 연금을 납부하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에도 해외 부동산.인프라 투자 등의 관련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처사”라면서 “국회가 국민이 납부한 연금이 국제기준에 맞게 합법적으로 적절하게 투자되고 있는지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