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지구온난화 경고 퍼포먼스 ⓒNewsis | ||
환경부(장관 윤성규)와 기상청(청장 고윤화)은 우리나라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으며 그 추세도 가팔라졌다.
1954년부터 1999년까지 중장기 분석에서는 10년간 연평균 0.23도 증가했지만 1981년부터 2010년에는 10년간 연평균 0.41도, 2001년부터 2010년에는 0.5도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폭염에 의한 서울 지역의 사망자도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2001~2010년)까지 폭염에 의한 서울 지역의 사망자는 인구 10만명당 0.7명이었지만 미래(2036∼2040년)에는 인구 10만명당 1.5명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진은 지난해 발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5차 보고서 전망결과와 국내·외 논문과 보고서의 연구결과를 분석해 추정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해수면의 상승도 두드러져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고 관측했다.
우리나라 주변 해양에서의 수온 상승률은 전지구 평균인 0.85℃보다 2~3배 높고 해수면 상승률 또한 전지구 평균인 1.4㎜보다 2~3배 높았다.
부산(해운대구)지역의 경우 해수면이 1m 상승할 시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은 3963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와 가뭄이 빈번해지고 특히 봄∙가을철 가뭄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여 한반도의 피해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지역별로 이러한 기후변화는 도시지역이 비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취약했으며, 특히 저소득계층이 밀집한 지역에서 그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별 영향 및 취약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유관기관의 협력방안을 주문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