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공무원연금개혁안 '미봉책' 비판…靑 "국민연금 인상 '월권'" 당·청 갈등으로 번지나

정치 / 양진석 / 2015-05-04 11:12:17
  • 카카오톡 보내기
ⓒNewsis
[일요주간=양진석 기자] 여야가 극적으로 합의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6일 국회 본회의 처리 시한에 쫓겨 졸속으로 심의했다는 것. 특히 여야가 이번 공무원연금 개혁을 합의하면서 더불어 국민연금 명목 소득대체율 인상을 합의해 이번 공무원 개혁안이 '반쪽짜리 개혁'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2일 국회 공무원연금개혁 실무기구가 합의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은 5년간 기여율(월급에서 연금으로 내는 돈의 비율)30% 더 높이고 지급률(연금으로 받는 돈의 비율)20년간 단계적으로 10% 줄여 재정 부담을 줄여나가기로 합의했다. 정부는 이로 인해 절감되는 재정이 내년부터 2085년까지 70년 동안 333조원이라고 추산했다.

반면 청와대 내부에선 향후 20년에 걸쳐 지급률을 내리는 방안은 당장 재정절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무기구는 이날 공무원연금개혁 방안에 합의하면서 공적연금 강화차원에서 국민연금의 명목 소득대체율을 현행 46.5%에서 50%까지 올리는 방안을 논의했다. 실무기구는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이 방안을 다루기로 합의했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평균 소득 대비 국민연금 지급액의 비율)50%로 확정한다면 월 300만 원을 버는 국민에게 월 150만 원의 연금을 보장해야한다. 이에 따라 국민연금 보험료율도 그만큼 올려야 해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이 '개악안'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청와대는 "공무원연금 논의 기구가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인상을 합의한 것은 명백한 월권"이라며 불만스런 반응을 내비쳤다.
여당은 이 합의사항을 존중한다는 것이지 국회 처리를 약속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반면 야당은 명목 소득대체율을 50%로 처리하자고 맞서고 있어 향후 청와대와 여야간 정치권의 갈등이 촉발될지도 주목된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