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24일 당내 계파주의와 패권주의를 청산할 혁신위원장에 김상곤 전 교육감을 임명했다. 
앞서 김 전 교육감은 이날 문재인 대표와 오찬 회동을 한 뒤 기자회견을 열어 "(문 대표가) 혁신을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혁신위에 권한을 위임하겠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앞서 김 전 교육감은 이날 문재인 대표와 오찬 회동을 한 뒤 기자회견을 열어 "(문 대표가) 혁신을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혁신위에 권한을 위임하겠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렇듯 김 전 교육감이 당의 운명을 결정지을 혁신위원장직을 맡게 되면서 당 내외로 여러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김 전 교육감은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신당 창당 추진할 당시 영입을 추진했던 인물로 아직까지 계파갈등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또 김 전 교육감은 교수 노조위원장을 비롯해 비정규직센터 이사장을 역임한 바 있는 진보 인사다. 때문에 혁신위 구성과정에서 운영문제를 놓고 잡음이 적지 않게느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김 전 교육감은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신당 창당 추진할 당시 영입을 추진했던 인물로 아직까지 계파갈등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또 김 전 교육감은 교수 노조위원장을 비롯해 비정규직센터 이사장을 역임한 바 있는 진보 인사다. 때문에 혁신위 구성과정에서 운영문제를 놓고 잡음이 적지 않게느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특히 광주 출신인 김 전 교육감이 호남 민심을 끌어안기에 적합하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서울권 대학의 모 교수는 <일요주간>과의 전화통화에서 "김 존 교육감은 과거 진보운동 경험이 많다"면서도 "아직까지 뚜렷한 계파색이 없고 (김 전 교육감이) 광주 출신인 만큼 현 시점에서 호남의 목소리를 전달하기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우려 섞인 시선도 있다. 당내 계파갈등과 패권주의에 대한 혁신을 이뤄내기에는 김 전 교육감의 현실 정치경험이 부족하다는 것. 김 전 교육감은 지난 재보선 당시 수원에 경선을 신청했지만 전략공천으로 인해 공천에 실패한 바 있다. 
때문에 당내에선 혁신위위원 인사들을 당내 중진 의원들로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문제는 '김상곤호'가 내놓을 혁신 내용이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조국 서울대 교수의 혁신안에 주목하고 있다. 조 교수는 지난 19일 자신의 SNS을 통해 4가지 혁신안을 제시한 바 있다.
그는 ▲계파 불문 도덕적 법적 하자가 있는 자의 공천 배제 ▲게파 불문 5선 이상 의원 다수 용퇴 또는 적지 출마 ▲지역 불문 현역 의원 교체율 40% 이상 실행 ▲전략 공천 20-30% 남겨둔 상태에서 완전국민경선 실시 등을 제안한 혁신안을 게재했다. 
조 교수가 내놓은 혁신안은 비노계 중진 의원들을 겨냥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만약 이 혁신안을 김 전 교육감이 받아들일 경우 비노계의 만만치 않은 반발이 예상된다.
조 교수가 내놓은 혁신안은 비노계 중진 의원들을 겨냥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만약 이 혁신안을 김 전 교육감이 받아들일 경우 비노계의 만만치 않은 반발이 예상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공천 혁신안에 대해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일요주간>과의 전화통화에서 "공천문제는 함부로 건들 수 없는 문제"라며 "시기적으로 공천 문제를 거론할 타이밍이 아니다. 다음 총선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있어 여러 변수가 존재한다"며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그는 특히 "현 시점에서 공천에 대한 어떤 혁신책을 내놓든 쉽지 않다"며 "혁신위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당내 공감대가 형성되야하지만 현재 새정치민주연합 분위기는 그게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계파갈등과 뜨거운 논란거리인 공천문제에 대해 김 위원장이 어떤 해결법을 제시할 수 있을 지 향후 '김상곤호 혁신위'의 방향성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김 전 교육감은 2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위원장 인선이 추인된 후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