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Newsis |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첫 메르스 환자를 진료한 의사 B씨가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감염자로 확인됐다고 27일 발표했다. 의료진이 메르스에 감염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또 B씨와 함께 이날 의심환자로 분류된 간호사 1명에 대해서는 유전자 검사 결과 음성 상태를 보여 메르스에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했다.
자가 격리 대상이었던 두 사람은 고열과 설사 증상이 나타나 국가격리병원으로 이송해 유전자 진단검사를 받게 됐고 B씨만 확진으로 그 결과를 통보 받았다.
이로써 현재까지 메르스 환자는 최초 환자 A씨(68), A씨 아내 C씨(63), 또 지난 16일 같은 병실에서 5시간가량 함께 있다 감염된 D(76)씨와 그의 딸 E씨에 이어 총 5명이 됐다.
보건당국은 메르스 환자의 관리 강화를 뒤늦게 밝혔지만 이미 3차 감염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메르스 환자를 짧게 문진하던 의사가 감염된 상황이기에 메르스 감염자와 4일 간을 함께 보낸 가족들에 대한 3차 감염 확산의 우려는 더욱 커지게 됐다.
여기서 3차 감염은 최초 확진 환자를 통해 메르스에 감염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직접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메르스가 지역사회로 확산됐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은 지난 2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메르스의 3차 감염 가능성을 낮게 전망한 바 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대응 대책’자료에는 감시 대상에 일반인이 새로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가 밀접 접촉자뿐 아니라 일반인 중 호흡기 증상 의심 자를 발견하면 질병관리본부나 보건소에 신고토록 조치한 것이다. 또한 신고 된 일반인에 대해 유전자 검사와 격리를 취하게 하는 등 메르스 확산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겠다는 계획 역시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앞서 3차 감염 가능성을 낮게 본 브리핑 내용과는 다소 상반된 부분이다.
현재 복지부는 자가 격리자들을 대상으로 다른 가족들과 2m 이상 떨어져 지내게 하고, 집안 내에서도 N-95 방역 마스크를 사용해 생활하라고 지침을 내리고 있다.
그러나 이를 준수하는지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 문제다. 복지부가 감염을 막기 위해 모니터링은 진행하고 있지만 자가 격리자들 스스로에게 지침을 맡기고 이를 점검하는 수준이어서 때에 따라 지침을 어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게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부분이다.
현재 메르스 치료제가 따로 없는 현실에 감염되면 그 치사율이 40%에 달하는 위험성 큰 질병으로 알려져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의 대책 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