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전국 작물보호제판매업 현동조합협의회가 이달 2~10일 300개 회원업체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 농협의 '농자재판매가 불공정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무려 93.4%로 나타났다.
그 이유에는 응답자 56.4%가 ‘농협의 선심성 할인판매 통한 시장가격 교란’을 꼽았고 ‘농협의 농업생산 보조사업 독점이 44.6%, 농산물수매권을 이용한 농협농약 구매강요가 42.1%, 면세적용 등 농협에 대한 정부의 특혜성 지원이 20%로 그 뒤를 이었다.
여기에 매출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5년간 매출이 줄고 있는 작물보호제판매상이 86.7%에 달했다. 이는 5년 전에 비해 3분의 1이상이 감소한 수치다. 그 이유로 ‘농협의 농약유통시장 독점’을 꼽은 이들이 81.5%로 압도적이었다.

작물보호제판매상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는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농협 경제사업에 대한 공정거래법 적용’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농협법 개정으로 인해 현재 농협은 경제사업을 할 경우 적용 대상에서 배제될 수 있다.
이밖에 농협 성격에 대해서는 응답자 87.7%가 농협을 잡화에서 주유소까지 하는 ‘유통대기업’으로 인식했으며 농업과 농민을 위한 ‘순수 정책기관’으로서의 인식은 3.0%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에 대해 전국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협의회는 “농협의 불공정한 농자재판매 실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다”면서 “앞으로 농협의 불공정한 농자재판매가 시정될 수 있도록 불공정사례 공표 등 다양한 정책적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