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is
지난 21일 임 회장은 서울신라호텔에서 개최된 ‘제1회 한미 오픈이노베이션 포럼’에 참석해 “작년의 한미약품 결과는 한국형 R&D 전략의 성공이라고 말하고 싶다”며 “우리가 다국적 기업의 R&D 형태를 모방했다면 성공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임 회장이 언급한 ‘한국형 R&D’는 성장 가능성이 큰 후보물질에 투자를 집중하는 방식을 말한다.
임 회장은 이어 “한 해 10조씩 R&D에 쏟아 붓는 다국적 회사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제약 기업의 R&D 비용은 1천분의 1 수준”이라며 “우리 분수에 맞는 그런 R&D 전략을 개발해 성과를 낸 것이 나는 자랑스럽다”고 소감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R&D는 제약 산업의 생명”이라는 평소 소신을 강조했다.
임 회장은 “5~6년 전 적자가 나던 힘든 시기에도 R&D를 강조했었다”라며 “R&D가 없는 제약 산업은 죽은 산업이라는 신념을 지켰기에 오늘의 성과를 만들어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미약품의 지난해 대규모 라이선스 계약은 한미약품의 성과, 영광일 수도 있겠지만 한국 제약 산업의 영광이라고도 생각한다”라며 “이 성과로 제약 산업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돼 가슴이 벅차오른다”고 소감을 표했다.
아울러 임 회장은 “유럽의 작은 나라 스위스가 제약강국이듯 한국도 제약강국이 될 수 있다”며 “한국 제약 산업이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한미약품의 자산을 업계와 공유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한미약품의 계약 비결을 업계와 공유하고 다른 투자자로부터는 새로운 혁신 동력을 찾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확산하겠다는 취지로 개최가 됐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