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4일 해양수산부 수산정보포털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던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이 작년 처음으로 반등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지난 2010년 8만 4,018t에 이른 일본산 수산물(소금 제외) 수입 중량은 2011년 5만 6,043t, 2012년 3만 9,614t, 2013년 3만 7,271t, 2014년 3만 2,844t으로 4년 사이 60.9% 감소 수치를 보였었다.
하지만 이렇게 지속적으로 줄던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은 2015년도에 3만 8,724t으로 작년보다 17.8% 증가 수치를 나타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수입한 일본산 수산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 건 가리비조개(6,637t)였다. 일본산 가리비는 대부분 국내산 보다 가격은 다소 비싸지만 씨알이 굻고 크기가 커 조개구이집 등을 중심으로 많이 유통되고 있다.
그 뒤로는 명태가 3,913t, 정어리는 3,228t, 우렁쉥이(멍게) 2,609t, 돔 2,423t, 갈치가 1,794t 순으로 작년 국내에 유입이 됐다.
전체 일본산 수산물 수입규모는 아직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전에는 못 미쳤지만 일부 어종은 사고 이전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1,677t이었던 수입량이 후쿠시마 사고를 기점으로 2012년 679t으로 줄어든 일본산 갈치는 이후 2013년 897t, 2014년 1,468t으로 다시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는 1,794t으로 2010년도 수입량을 앞질렀다.
갈치는 자원량 감소와 어린 물고기 남획 등으로 현재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어획량이 갈수록 부진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는데다 상대적으로 수입 갈치가 가격이 저렴해 일본산 수입이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중에선 일본산 어패류 원산지를 속이거나 원산지 표시 없이 파는 일이 끊이지를 않고 있다.
수산물품질관리원은 작년 전국 수산물 판매·가공업체 및 음식점의 원산지 표시를 단속한 결과 거짓으로 원산지를 표시한 일본산 가리비를 총 24건(104kg) 적발한 바 있다.
지난해 일본산 수산물의 원산지를 국산이나 중국산으로 속여 팔다 덜미를 잡힌 업소는 37곳, 일본산임을 표시하지 않다 적발된 업소는 모두 33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 수산물 수입에 대해 일부 시민단체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며 재제를 가해줄 것을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지난 21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시민방사능감시센터 등 시민단체들은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일본 후쿠시마 주변 8개현 수산물 수입 재개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펼쳤다.
이들은 외교부가 지난 15일 한일관계 경색을 해소키 위해 협상 카드 일환으로 내세운 일본 후쿠시마 8개현 수산물 수입재개 방침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며 수산물 수입 재개 뿐 아니라 일본산 모든 식품의 수입을 금지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2013년 여름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사능 오염수가 대량 유출된 이후 같은 해 9월 정부는 후쿠시마·이바라키·미야기·이와테·도치기·지바·아오모리 등 8개현에서 생산하는 모든 수산물의 수입을 전면 금지시킨 바 있다.
하지만 지난 15일 외교부는 “(일본 수산물 수입 금지와 관련해) 조만간 푸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이런 방향으로) 유관부처와 협조 중”이라고 밝혀 수입금지 조치를 조만간 해제할 것임을 시사했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