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Newsis | ||
지난 9일 국방부는 약식 브리핑을 열고 ‘북한 장거리 미사일 기술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 로켓(미사일)인 광명성호는 1~3단 추진체가 정상적으로 분리됐으며 탑재체인 광명성 4호는 위성궤도 진입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 7일 오전 9시 30분 북한이 쏘아올린 광명성호는 9시 32분께 1단 추진체가 9시 33분 덮개(페어링)가 각각 분리된 이후 9시 36분 제주 서남방 해상서 미사일 탐지·추적 임무를 수행 중이던 이지스함 서애류성룡함의 레이더망에서 사라졌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1단 추진체와 페어링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 전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기구에 통보한 예상 낙하지역에 추락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국방부는 전문기관의 모의분석 결과를 토대로 2단 추진체의 낙하지점을 동창리로부터 2,380㎞ 떨어진 필리핀 루손섬 동쪽 해상으로 추측했다.
국방부는 광명성 4호의 궤도 진입시간에 대해선 발사 직후 9분 29초인 569초로 추정했다.
앞서 북한은 ‘우주발사체’인 광명성호 발사에 “완전히 성공했다”며 위성체인 광명성 4호가 발사 586초(9분 46초)만인 9시 39분 46초에 위성궤도에 진입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국방부는 북한 장거리 미사일의 1단 추진체가 분리 직후 폭발해 270여개 파편으로 낙하한 것과 관련해선 우리 측의 추진체 회수로 기술 노출이 될 것을 우려해 자폭장치로 폭파시켰음을 추정했다.
또 북한이 이번에 쏘아올린 광명성호의 형상은 지난 2012년 12월 발사된 ‘은하 3호’와 그 형상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방부 측은 북한 장거리 미사일의 직경과 길이의 비(比)는 2.4 대 30으로 형상이 일치한다며 다만 광명성 4호의 탑재체 중량은 은하 3호에 비교해 다소 증가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방부는 탑재체 중량이 더 증가한 점으로 미뤄 북한의 미사일 발사 기술력이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위성으로서의 정상작동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 측은 위성의 정상작동 여부와 기능에 대해선 3~4일 만에 판단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CBS 방송에서도 광명성 4호가 궤도에 진입했으나 상태가 불안정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이 보도가 된 바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