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른바 ‘셀프공천(비례대표 2번)’으로 이번 논란의 중심에 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21일 열린 비대위와 중앙위에 참석하지 않고 당무를 거부한 채 당에 대한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김 대표는 21일 서울 광화문 개인 사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자신이 비례대표 2번에 배정된 것과 관련 당내 반발이 확산되는 것에 대해 “(비례 2번 때문에) 내가 큰 욕심이 있는 노인네처럼 인격적으로 사람을 모독했다”며 “그 따위로 대접하는 그런 정당에 가서 일을 해주고 싶은 생각이 추호도 없다. (의원직을 갖고) 당을 추스려 수권정당으로 만들겠다는 거지 비례대표에 연연해서 여기 온 것이 아니다”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낭떠러지에 떨어지려고 하는 당을 구하기 위해 비대위를 만들었으면 그러면 권한을 줘야지 그게 싫다면 끝나는 것”고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이같은 김 대표의 행보를 바라보는 시선도 엇갈린다.
새누리당을 탈당해 더민주에 입당한 진영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그분(김종인)은 나라의 장래에 대해서 고심도 많고 공부도 많이 했기 때문에 많은 역할을 해야된다”며 “새롭게 당을 변화시키기 위해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기 때문에 (김종인 대표에게) 힘이 좀 실려야 한다. 비례대표(2번) 결정은 합당한 일”이라고 말했다.
반면 더민주 혁신위원을 지낸 조국 서울대 교수는 이날 김종인 대표와 관련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소통에 나서 줄 것으로 요구했다.
그는 “김종인 대표는 더민주가 위기에 있을 때 구원투수로 들어와서 당을 안정화시키셨다”고 공을 인정하면서도 “(김종인 대표가) 호통만 치지 말고 경청, 소통해야 한다. 당원과 지지자는 훈육(訓育)이나 훈도(訓導)의 대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그러면서 “야당 구성원들은 ‘당내 민주주의’를 중시한다는 점을 (김종인 대표가) 유념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