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 의원을 컷오프(공천배제)할 경우 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을 감안한 고육지책인 셈이다. 하지만 이 경우 공당으로서 비겁한 행태라는 비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새누리당은 이런 형국에서 유승민 의원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는 것이 민심 이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상의 시나리오로 보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지난 21일 유승민 의원에 대해 “스스로 물러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속내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그러나 유 의원은 당에서 공천이든 컷오프든 최종 결정을 내려 줄 것으로 바라고 있다.
당초 공천관리위원회는 21일 유승민 의원의 공천 문제에 대해 결론을 내겠다고 밝혔으나 결국 결론을 내지 못했다.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기보다는 안 내린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게 비박계의 주장이다.
이번 4·13총선 후보자 등록일이 오는 24-25일 이틀뿐인 점을 감안할 때 공천을 받고 출마하려면 23일까지가 시한인 셈. 예비후보들간에 경선을 치러서 공천을 확정하려면 최소한 이틀의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21일 유 의원의 공천 여부를 결론 내리지 못했다는 것은 사실상 유 의원을 공천에서 배제한 것이나 다름없다.
공직선거법상 후보자 등록 기간 중에는 탈당 등 당적 변경을 하면 등록이 무효가 된다. 따라서 이 기간을 넘기면 유승민 의원이 무소속 출마도 불가능해진다.
이제 유 의원이 선택 할 수 있는 카드는 23일까지 새누리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할 것인지 아니면 불출마 선언을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일만 남았다.
이와 관련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은 2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도부와 공관위 인사들을 겨냥해 “(20대 총선 공천을) 특정인과 특정세력을 향한 소위 ‘공천학살’”이라고 전제하고 “총선에 패배한다면 ‘비루한 간신들’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권력의 눈치를 보면서 국민을 무시하는 소탐대실의 자해행위를 하고 있다”며 “여권 내 권련을 강화하려다 권력기반 자체가 흔들려 결국 총선패배로 이어질게 자명하다”고 지도부와 공관위를 혹평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