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꺾인 거물 정치인들…與 차기 대선 '빨간불'

정치 / 최종문 기자 / 2016-04-14 16:18:08
  • 카카오톡 보내기
오세훈 전 서울시장. Newsis
[일요주간=최종문 기자]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면서 여소야대정국이 형성된 가운데 대권 잠룡을 포함한 56선의 다선 의원, 친이계 중진 등 거물급 인사들이 줄줄이 낙선함에 따라 그 후폭풍이 적잖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총선을 통해 대권에 도전하려던 새누리당의 잠룡들 대부분이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
특히 서울 종로에서 재기를 노렸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꿈은 물거품이 됐다. 지난 1320대 총선 개표 결과 새누리당 오세훈 후보는 총 33,490(39.7%)를 득표해 44,342(52.6%)를 획득한 더불어민주당 정세균 당선자에게 밀려 국회 입성이 좌절됐다.
오 후보는 무상급식 투표로 서울시장직에서 물러난 이후 국회 입성에 도전했지만 결국 참패하면서 대권가도에 큰 타격을 입게 됐다.

오 전 시장과 더불어 잠룡 후보군인 새누리당 김문수 후보 역시 대구 정치 1번지이자 여당 텃밭인 대구 수성갑에서 야당 후보인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후보에 큰 차이로 패하면서 낙선했다.
김문수 후보는 새누리당 심장이라 불리는 대구에서 참패함에 따라 차기 대선주자의 반열에서 멀어진 것은 물론 정치생명마저 장담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7선에 도전한 거물급 새누리당 이인제 후보는 개표 막판까지 상대 후보와 치열한 경합을 펼치다 최종 44,165(42.55%)를 얻으며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
이로써 지난 1987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소개로 정계에 입문한 뒤 노동부 장관, 경기지사, 6선 의원(13·14·16·17·18·19대 국회의원)에 이르기까지 30년 가깝게 지속됐던 이 의원의 정치인생이 결국 종말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당 대표 및 사회부총리 등을 역임한 황우여 후보 역시 6선의 고지를 밟지 못한 채 낙선의 쓴 잔을 들이켰다.
개표결과 황 후보는 37.9%에 그쳐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당선자(45.8%)에 밀려 낙선했다.
인천 연수구에서만 내리 4선을 했던 황 후보는 이번 총선에선 전략 공천을 받아 지역구를 옮겼다 패배를 안았다.
새누리당 공천에서 살아남은 친이계 중진들도 줄줄이 국회의원 배찌를 내려놓게 됐다.
이번 총선을 통해 서울 은평을서 6선에 도전했던 친이(친인명박)계 실세 이재오 후보는 29.5%를 득표해 36.7%의 득표율을 기록한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당선자에 밀려 패배했다.
서울 서대문에서 4선에 도전한 새누리당 정두언(59) 후보도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후보에 패하며 국회의원 배지를 달지 못하게 됐다.
개표결과 정 후보는 39.86%의 지지율에 그쳐 48.90%를 획득한 김 후보에게 밀려 낙선했다.
정 후보는 국정교과서, 한국형 전투기 사업 등 박근혜 대통령이 추진 중인 핵심 정책마다 다른 목소리를 내며 각을 세우는 등 유승민 후보와 더불어 () 비박핵심 인사로 꼽혀왔다.
한편 이번 총선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함에 따라 16년 만에 여소야대형국을 이뤘다. 더불어민주당이 123석을 가져갔으며 새누리당이 121, 국민의당 39, 정의당 6, 무소속이 11석을 차지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