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發 구조조정 본격화…해운·조선등 취약업종에 ‘메스’ 든다

e산업 / 김슬기 / 2016-04-20 17:15:56
  • 카카오톡 보내기
ⓒNewsis
[일요주간=김슬기 기자] 정부 당국의 구조조정 칼끝이 5대 취약 업종을 향하고 있다.
지속되는 경기침체 등으로 신용등급이 하락한 기업이 IMF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1998년 이래 가장 많은 수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작년 불경기로 업황이 좋지 않았던 조선·해운·건설·철강·석유화학에 대한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20일 각 정부부처에 따르면 취약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 주도로 추진될 예정이다.
정부는 다음 주에 금융위를 중심으로 범정부 협의체 회의를 열고 이를 통해 구조조정 상황과 향후 계획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범정부 협의체에는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함께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취약산업 주무부서 차관급 및 금융감독원, 국책은행 등 관련기관 부기관장 등이 자리할 것으로 예정돼 있다.
앞서 정부는 해당부처 국장들이 참석한 구조조정협의체 실무회의를 개최, 구조조정이 필요한 업종을 점검했으며 그 결과 전자와 디스플레이 등에선 전반적으로 별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구조조정대상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반해 조선해운업을 비롯한 건설 철강 등 취약업종에 대해선 경제의 성장잠재력이 갈수록 하락, 결국 저성장이 고착될 것으로 우려돼 부실정리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4월에서 6월 사이 대기업에 대한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해 오는 7월 초 구조조정 대상을 선정할 방침이다. 중소기업에 대해선 7~10월 평가를 통해 11월 그 대상을 선별한다.
한편 앞서 지난 15일 유일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기업구조조정을 직접 챙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취약업종에 대한 이번 구조조정은 향후 기재부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을 것으로 일각에선 보고 있다. 그간의 기업 구조조정은 금융위 주도 아래 채권단을 중심으로 추진 돼 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