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김완재 기자] 한국수력원자력 정규직 직원과 용역업체 직원들 간 방사선 피폭량 차이가 8배 이상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이찬열(경기 수원 장안) 의원이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부터 올해 7월까지 한수원 직원들의 평균 피폭량은 0.11mSv(밀리시버트)인 반면, 용역업체 직원들의 평균 피폭량은 0.97mSv로 약 8.8배 더 높게 나타났다.
한수원 정규직의 경우 지난 2011년 1인당 평균 피폭량은 0.15mSv에서 올해는 0.06mSv으로 감소했다.
반면 용역업체 직원들의 피폭량은 같은 기간 1.06mSv에서 0.73mSv으로 소폭 감소했다가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 중 원자력안전법에 규정된 일반인의 피폭량 한도인 1mSv을 넘은 경우도 무려 2182명(14.6%)에 달했다.
이 의원은 "비정규직이 정규직 보다 방사선 피폭량이 높은 원인은 피폭과 같은 상대적으로 위험한 업무에 비정규직들이 대거 투입되고 있고, 10년 넘게 일하면서도 고용승계로 회사만 바뀌는 용역업체 직원들이 상당수 있다"고 지적했다.
원전별 정규직 대비 용역업체 인력이 가장 많은 곳은 전남 영광 한빛본부로 정규직이 1508명인 반면 비정규직은 무려 1452명으로 49.1%에 달했다. 가장 낮은 고리본부도 정규직이 2338명인 반면 비정규직은 1534명으로 39.6%에 달했다.
한수원은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 34곳 중 가장 많은 용역업체와 계약을 맺고 있다. 한수원의 2016년 용역업체 수는 433곳으로 한국전력공사 270곳, 한국가스공사 138곳 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방사선 관리의 경우 업무 효율성 향상과 동반성장을 이유로 외주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의원은 "위험 업무의 비정규직 외주화가 법적으로 문제가 없기 때문에 괜찮다고 할 것이 아니라, 조금이라도 피폭량을 줄이기 위해 작업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방사선 안전관리와 정비 등 원전 안전관리의 핵심 업무를 언제까지 외주화에 의지할 생각인지도 의문이다"며 "피폭과 같은 상대적으로 위험한 업무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은 정규직화를 검토해 고용 보장 등 정당한 대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