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이수근 기자] 오는 8월이면 서울시민 누구에게나 ‘찾동’(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전담 공무원이 생긴다 . 복지서비스에 대한 이용이나 행정서비스에 대한 상담은 물론 내가 가진 자원을 지역에 나누고 싶거나 지역의 자원이 필요할 때 모두 전담 공무원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서울시에서는 서울시 복지포털에 접속해서 내 집 주소만 입력하면 내 전담 공무원의 이름과 직통 전화번호까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시는 8월 본격 시행에 맞춰 관련 시스템을 구축 완료할 계획이다.
또, 전체 동(洞)의 80%(25개 자치구 총 424개 동 중 24개 구 342개 동)에 대한 '찾동' 전환을 이달 중 확대 완료하고 서비스를 본격화하는 '찾동' 3단계 출범식을 18일(화) 개최한다.
출범식에는 박원순 시장과 3단계로 출범하는 7개 자치구청장(용산‧강북‧광진‧서초‧중랑‧송파‧중구)을 비롯해 '찾동'을 시행하는 24개 자치구청장이 모두 참석해 각 구 모양의 지도 블록에 출범에 대한 포부와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 블록 조각들을 모아 서울 지도를 완성하는 퍼포먼스를 펼친다.
'찾동' 출범 이후 각 동마다 새롭게 배치된 우리동네 주무관, 복지플래너, 방문간호사가 가정은 물론 구치소, 정신병원, 장례식장, 치매지원센터 등 마을 곳곳을 누빈 결과 최근 1년 사이('16.7.~'17.6.) 복지 현장에서는 가시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주민들과 소통하고 지역사정에 밝아지면서 복지 사각지대 가정 64,942가구(동별 월 평균 19가구)를 새롭게 발굴, 이중 생계가 어려운 가정에 긴급 생계비‧주거비 총 229억 원을 지원했다. 찾동의 중점 지원대상인 어르신과 출산가정 각각 81,030가구, 15,145가구에는 방문을 통한 건강‧복지 서비스를 제공했다.
또, 지역의 주체인 주민이 지역문제를 고민하고 계획하고 결정‧실행하는 마을공동체의 실현 역시 '찾동'이 만들어낸 또 하나의 큰 변화다. 주민 스스로 마을의 문제를 발굴‧해결하는 '마을기획단' 4,898명(49개 동, 동 평균 100명) 활동, 마을총회를 통한 469개 의제 도출, 마을총회 주민투표 20,024명 참여 등 활동이 이뤄졌다.
'찾동'이 이와 같은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과감한 인력 확충을 통한 현장의 '복지깔대기' 문제 해소가 있었다. 시가 3년간('15년~'17년) 총 2,452명을 확충하고 인건비(시비 75% 지원, 방문간호사 100% 지원)를 지원한 결과 복지 전담 공무원 1인당 복지대상자(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계층) 수가 289명('찾동' 시행 전)에서 126명(시행 후)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한편, 서울시는 '찾동' 출범 3년차를 맞아 지난 3월부터 공무원, 학계, 중간지원조직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논의를 진행, 7대 지속발전과제를 도출했다. 시는 이달 말까지 이 7대 과제에 대한 해법을 수립하고 하반기부터는 '찾동'의 안착화를 위한 구체적인 과제 실행에 포커스를 맞춘다는 계획을 표명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