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조무정 기자]SK㈜ C&C가 IBM 왓슨 한국어 API 기반 에이브릴(Aibril)을 출시한다.
SK㈜ C&C는 6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왓슨 한국어 API 8종을 공개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기업들이 크게 품을 들이지 않고도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일종의 프로그램 세트다.
이날 공개한 왓슨 한국어 API는 대화, 자연어 이해, 자연어 분류, 검색 및 평가, 문서변환, 언어번역, 이미지 인식, 성향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8종이다.
왓슨 한국어 API는 전문가가 아니라도 활용법만 간단히 숙지하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쉽다.
에이브릴 포털에 접속 후 자신의 인공지능 서비스에 맞게 API를 골라 블록 조립하듯이 합치면 검색·학습·대화는 물론 개인 선호·취향 파악 등 원하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개발 할 수 있다.
해당 API에 데이터를 복사해 붙이기만 하면 된다. 파일을 그대로 업로드 하는 것도 방법이다. HTML·PDF·MS워드 등 다양한 포맷의 문서 형식도 가리지 않는다. 기존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에는 시스템 전문가·데이터 분석가·머신러닝 개발자 등 많은 전문 인력을 투입해 오랜 시간 동안 작업이 필요했다. 심지어 데이터 양식을 맞추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

SK㈜ C&C 관계자는 “왓슨 한국어 API는 데이터 전달부터 분석·처리까지 모두 간단히 진행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인공지능 서비스도 빠르게 만들어낼 수 있다”고 소개했다.
가령 특정 온라인 쇼핑 고객 선호도 분석 시 고객의 SNS 데이터를 넣어 주면 ‘성향분석 서비스(PI)가 해당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바로 진행한다.
데이터 입력과 함께 ‘문서 전환 API’가 해당 데이터를 분석 가능한 데이터로 자동 변환해 저장시킨다. ‘이미지인식 서비스(VR)’를 활용하면 제품 사진 등도 간편하게 등록해 연계·분석할 수 있다.
또 ‘대화 서비스(Conversation)’를 통해 20대 고객 선호 물품 등의 질문을 하면 ‘자연어 이해 서비스(NLU)’가 관련 답을 찾아 알려준다.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으면 추가 조사를 지시하면 ‘자연어 분류 서비스(NLC)’가 ‘검색 및 평가 서비스(R&R)’의 도움을 받아 질문자의 의도에 맞게 데이터를 재분류하고 다시 답변을 제시하는 식이다.
왓슨 한국어 API 기반의 에이브릴 서비스는 어떤 형태의 서비스·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필요하면 외부 솔루션을 언제든 추가 장착해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거울이나 인형·로봇은 물론 챗봇에도 음성인식 기능을 달 수 있다. 이를 위해 SK㈜ C&C는 왓슨 한국어 API를 활용한 범용 챗봇 프레임워크도 소개했다.
해당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와 연결해 원하는 챗봇 서비스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SK㈜ C&C는 이번에 선보인 8종의 API 외에 올 연말까지 음성서비스인 STT(Speech To Text, 음성을 텍스트로 자동변환)·TTS(Text to Speech, 텍스트를 음성으로 자동변환) API도 추가로 선보일 예정이다.
이문진 SK㈜ C&C 에이브릴 사업본부장은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 서비스를 손쉽게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에이브릴을 통해 국내 모든 기업이 글로벌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수 있는 자신만의 데이터 사업화를 빠르게 전개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