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황성달 기자]최근 IP 카메라 해킹과 몰래카메라 범죄로 인한 개인 인격권을 침해하는 ‘개인성행위영상’ 삭제 요청이 폭증하고 있지만 실제 삭제 조치는 3.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송희경 의원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초상권 침해·개인의 인격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신고된 ‘개인성행위정보’ 건수는 총 1만5190건에 달했다.

2016년 한 해에만 접수된 신고건수는 7356건으로 전년 대비 2배 급증했다. 이 가운데 4389건(59.6%)은 기 시정요구 건과 같은 정보로 밝혀졌다. 이는 삭제 조치된 영상물의 상당수가 재배포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삭제 시정 조치는 570건으로 신청 건수의 3.7%에 불과했다. 나머지 92.2%는 접속차단 조치가 이뤄졌다.
처리 속도도 문제로 지적됐다. 주로 온라인상에 유포되는 특성상 유포 속도가 빨라 신속한 대응이 관건이지만 정작 신청 후 시정조치까지 처리기간은 2017년 기준 평균 10.9일로 드러났다.
개인성행위영상은 일반음란물과 달리 초상권 침해, 개인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정보로서 주로 몰래카메라에 촬영됐거나 의도하지 않고 촬영된 개인의 영상물을 의미한다. 방송통신심의원회는 신고 접수를 받은 후 위원회 심의를 거쳐 사업자에게 시정요구를 내린다.
송 의원은 “초상권 및 개인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영상물 신고는 폭증하는데 정작 피해 구제 과정은 복잡하고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신고부터 조치까지 통상 열흘이 걸리는데 온라인의 파급력을 고려한다면 피해자들의 고통은 극심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영상 유포로 인한 피해자들의 2차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심의 기관은 긴급 심의제도를 도입해 즉각적인 삭제와 접속 차단 조치를 취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