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코나·G70 출시에도 美 시장 판매 부진...차세대 싼타페 등 경쟁력 관건"

e산업 / 김영호 기자 / 2018-01-26 13:50:08
  • 카카오톡 보내기
DB금융투자, 주력 볼륨 모델들의 판매 부진으로 M/S 오히려 감소
2014년 이후 미국 내 신차 판매 부진 고려해 투자의견 'HOLD' 유지
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디트로이트 코보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18 북미 국제 오토쇼 현대자동차 언론 공개행사에서 월드 프리미어 ‘신형 벨로스터’.(사진=newsis)
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디트로이트 코보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18 북미 국제 오토쇼 현대자동차 언론 공개행사에서 월드 프리미어 ‘신형 벨로스터’.(사진=newsis)

[일요주간=김영호 기자] 현대자동차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4조5008억원, 영업이익 7752억원으로 영업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를 31% 하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평모 DB금융투자 연구원은 26일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현대차는 원화 강세로 원/달러 환율을 비롯한 환율 환경이 악화됐고, 내수 및 미국 판매량 모두 부진했다"고 실적 악화의 원인을 이 같이 진단했다.


아울러 "(현대차) 공장의 파업 및 생산 조정으로 인해 판매량이 감소했고, 고정비 부담을 키우며 예상보다도 부진한 실적을 야기했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또 "세단의 판매 부진으로 부담이 지속됐다"고 지적하며 "현대차의 미국 내 인센티브 증가율이 2017년 들어 산업 대비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주력 볼륨 모델들의 판매 부진으로 M/S는 오히려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리테일 판매 부진을 감안해 미국 공장의 가동률을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국 시장의 재고는 4.4개월에 머물고 있다"며 "코나 및 G70의 미국 출시에도 불구하고 현대차의 미국 내 인센티브 증가 및 판매 부진은 올해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가 기존추정치 대비 7.3% 하향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하며 "현대차의 올해 영업이익은 2017년 대비 5.7% 증가에 그치고, 시장기대치를 9.6% 하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현대차의 신차 경쟁력 회복이 관건"이라며 "차세대 싼타페의 미국 판매가 시작되고, 다양한 SUV 신차들이 추가되면 신차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이어 "2014년 이후 미국 내 신차 판매 부진을 고려한다면 신차 경쟁력을 확인 하기전까지 투자의견 상향은 다소 이르다고 판단된다"며 "투자의견을 HOLD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