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오혜은 기자] NHTSA(미국 도로교통안전국)는 최근 현대차와 기아차 모델에서 발생한 ZF-TRW의 에어백 작동불량과 관련해 전수조사를 착수했다.
지난 16일 NHTSA는 2011년형 현대 쏘나타 및 2012, 2013년형 기아 포르테의 전방충돌사고(각각 4건, 2건, 4명의 사망자 포함 10명의 사상자 발생)에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전수조사를 시작한 바 있다. 이번 조사의 핵심은 ACU (에어백 컨트롤 유닛)의 EOS (전압 과부하, Electrical Overstress Condition)에 따른 에어백 불량 발생여부다>
현대차는 쏘나타 충돌사고 4건 중 3건은 이미 ZF-TRW가 공급한 ACU 불량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한 건 또한 같은 관점에서 ZF-TRW와 공동 조사 중이다.
앞서 관련 모델 15만 5000대에 대해서 지난 2월 리콜을 발표했다. NHTSA는 기아차 포르테 또한 같은 ACU를 사용했으며, 이미 지난 2016년 140만대에 대한 에어백 리콜을 진행한 Fiat Chrysler 또한 같은 문제를 갖고 있었다고 밝혔다.
NHTSA는 ZF-TRW ACU 불량에 대한 점검과 함께 같은 ACU를 장착한 모든 차종을 확인한다는 입장이다. 세계 2위 종합 부품 업체이자 세계 3위 에어백 공급 업체인 ZF-TRW는 성명을 통해 당장은 비밀유지 약정에 의해 어느 업체가 자신의 ACU를 구매했는지 밝히기 어려우나, NHTSA의 조사에 적극 협조하기로 발표했다.
이와 관련 김성준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19일 "과거 Lexus 및 Takata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 안전 문제는 업체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세계 2위 에어백 업체였던 Takata는 에어백 전개 시 금속커버가 파열되며 탑승자 상해를 발생시키는 문제로 2014년부터 19개 자동차업체 총 4310만개 제품에 대한 리콜을 진행했고, 리콜비용, 벌금, 피해자 합의금 부담에 못 이겨 결국 파산 및 상장폐지했고 매각 절차를 밟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조사된 바에 따라 ZF-TRW의 ACU 불량이 문제의 원천이라면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는 부품업체의 특성상 제2의 Takata 사태가 발생 가능하며 현대, 기아차의 리콜비용은 모두 ZF-TRW에게 귀속될 예정이다"며 "그러나 만약 ACU 불량이 아닌 완성차 설계의 문제였다면, 이는 현대, 기아차의 브랜드 가치 훼손 및 징벌적 과징금 부담 사유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아직 조사 시작 단계인 이번 이슈에 대해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