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하수은 기자]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상반기 출범 이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등 수요가 많은 지역의 부동산 안정을 위해 수차례 규제책을 내놨으나, 모두 공염불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가 9분기 연속 상승하면서 8년래 최고를 보인 것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올해 3분기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30.3으로 전분기(122.7)보다 7.6포인트 상승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로써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016년 3분기부터 9분기 연속 상승하게 됐으며, 2010년 4분기(131) 이후 가장 높았다.
이는 전분기보다 서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올랐고, 금리 상승으로 주택담보대출 이자 상환 부담도 늘었기 때문이라고 공사는 설명했다.
반면, 전국 평균은 57.5로 전분기보다 1.8포인트 하락하는 등, 3분기 연속 약세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전국 지수보다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차이로 서울과 지방 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됐다고 공사는 강조했다.
다만, 16개 시도(세종 제외) 중에서 전분기 대비 서울과 제주만 올랐고, 나머지 지역은 보합이거나 하락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9·13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이 내려가고는 있지만, 금리가 올라 이자 상환 부담이 늘어 지수는 당분간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지방 주택가격은 더 빠르게 떨어지고 있어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 현상은 더욱 뚜렷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소득이 중간인 가구가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매하기 위해 대출을 받을 때 얼마나 원리금 상환 부담을 져야 하는지를 지수화한 것으로, 지수가 100이면 소득 중 25%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한다는 의미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집을 구매하기가 부담스럽다는 뜻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