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쌍주 대기자 |
고엽제전우회의 역사는 1964년 베트남전 파병으로 시작된다. 미국이 정글파괴를 위해 뿌린 제초제(고엽제)가 사람에게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것으로 확인됐었다. 월남전에 파병된 32만 명의 참전용사 중 15만9천여 명이 고엽제피해자로 인정받았다.
이들은 1997년 12월 ‘월남참전고엽제후유의증전우회’를 사단법인으로 창립했으며, 2007년 국가유공자법과 고엽제후유의증환자지원법에 따른 보훈단체로 승격됐다. 그리고 등급에 따라 매달 보상금을 지원받고 의료·교육·취업 등에서 지원혜택을 받고 있다.
관제데모에 동원됐던 고엽제전우회 지회장과 회원들이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지난해 1월 고엽제전우회를 이끌던 핵심 간부들이 주택사업비리로 구속된 사건이 촉발제가 됐다. 이형규 당시 회장, 김성욱 사무총장, 김복수 사업본부장이 33억 원의 뒷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부터다.
1997년 고엽제전우회 설립 때부터 지난해까지 사실상 종신 집권한 이들 ‘3인방’은 1심에 이어 최근 서울고등법원에서 5~8년형을 받았다. 핵심 3인방이 구속되면서 그동안 고엽제전우회 회원들의 입을 막았던 침묵의 둑이 무너져 내리고 있는 것이다.
고엽제전우회 전국 각 지부에서 묵은 비리가 터져 나오면서 고엽제전우회는 공중분해 위기를 맞고 있다. 3인방 체제의 공백을 메워야 할 핵심 시·도 지부장들도 일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비리의 공범 아닌 이가 없을 정도라고 한다. 박근규 서울시지부장도 장례사업에서 3억 원을 받은 혐의로 지난해 봄 구속돼 1심에서 3년형을 받았다.
고엽제전우회의 뒷돈을 관리하던 광주시지부의 비자금통장도 최근에 드러났다. 비자금통장에선 중앙회 김성욱 전 사무총장한테 감사비와 떡값으로 100만~200만원씩 상납하던 비리의 꼬리표가 잡혔다. 뒷돈을 빼돌리기 위한 이중장부작성과 비자금통장관리는 전우회에서 광범위하게 이뤄지던 관행이었던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사실 그동안 보수단체들의 집단시위에 동원되는 인원 한 명당 얼마씩 해서 천문학적 자금이 소요되었으며, 이 자금의 대부분이 이들 단체들의 공기관·기업들 대상 특혜로 얻어낸 수익사업에서 나온다는 건 공공연한 사실이었다.
그러나 정부도 시민단체도 심지어 언론들도 접근을 꺼리는 부분이라 이번 고엽제전우회의 비리에 대한 폭로가 혁신의 기폭제가 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사실 이들은 젊은 시절 피땀으로 대한민국의 산업화를 이룩한 영웅들이다, 비록 정치권에 이용당하면서 국민적 배척을 당하고 있지만, 그 애국심만은 인정해야 한다,
세월을 붙잡아 둘 수는 없듯이 이들도 언젠가 사라질 것이다. 맥아더 장군의 그 유명한 연설 “노병은 영원히 죽지 않는다. 오직 사라질 뿐이다”라는 구절이 생각이 나는 순간이다. 국가보훈처가 더 이상 좌고우면하지 말고 정치적으로 이용당하고 있는 보훈단체들에 대한 근본적이고 과단성 있는 개혁에 나서야 할 때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