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 공장 하청노동자 사망 '2인1조 작업' 무시...노동부 특별감독 중 발생

사회 / 조무정 기자 / 2021-03-17 13:55:42
  • 카카오톡 보내기
16일 포항제철소 포스코케미칼 공장에서 하청노동자 기계에 끼여 사망
노조 "다단계로 얽힌 외주화와 안전무시한 단독작업이 사망 원인 으로"
최정우 회장 연임 성공 나흘 뒤, 노동부 포항제철소 특별감독 중에 발생
▲ 16일 포스코케미칼 하청업체 노동자가 사고로 사망하는 등 포스코에서는 하청업체 노동자들의 사망사고가 끊이지 ㅇ낳고 있다. 사진은 청년전태일, 전국특성화고졸업생노동조합을 비롯한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지난 2월 9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하루 전 사망한 청년 비정규직노동자를 추모하고 있다.(사진=newsis)

 

[일요주간 = 조무정 기자] 산업재해로 사망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포스코에서 지난 16일 또 한 명의 하청업체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2인 1조가 아닌 1인 단독작업 중에 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전국금속노동조합 포스코사내하청지회(이하 포스코하청지회)에 따르면 포스코케미칼 하청업체 노동자 사망사고 현장에는 CCTV도 설치되지 않았고, 2인 1조 작업도 지켜지지 않았으며, 전원공급을 차단해 우발적인 사고를 막는 시스템인 ILS(Isolation Locking System, 모든 설비에 안전장치를 해 위험작업시 전원 공급 차단하는 시스템)도 작동하지 않았다.

포스코하청지회는 “불과 사흘 전 포스코 5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최정우 회장이 연임되며, 포스코의 중기(2021년~2023년) 경영전략을 발표했지만 사망사고는 멈추지 않았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포스코와 포스코케미칼, 하청업체의 재하청 등 다단계 외주화로 사고예방과 위험예지 등 안전관리가 통하지 않고 있다”며 “무방비 상태에서 하청노동자의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포스코는 주총에서 “향후 3년간 1조원의 안전투자를 통해 노후·부식 대형 배관, 크레인, 컨베이어 벨트 등 대형설비를 전면 신예화하고 불안전 시설과 현장을 즉시 개선하는 등 위험요인을 철저히 제거해나갈 계획이다”면서 “협력사를 포함한 사업장 모든 작업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포스코하청지회는 또 “노동부가 현재 포항제철소 특별감독을 진행하고 있지만, 사망사고를 막진 못했다. 포스코의 노동안전시스템이 붕괴한 상황에서 백약이 무효인 상황이다”며 “특히나 가스폭발 사고 등 설비노후화 문제와 함께 죽음의 외주화, 단독작업 등 사고 예방을 위한 기본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에 따르면 2018년 6월 23일 최정우 회장 선임 후 현재까지 18명의 노동자가 사망했고, 이중 12명이 하청노동자다. 포스코와 포스코케미칼, 하청업체의 재하청 등 다단계 외주화로 하청노동자의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포스코하청지회는 “포스코 최정우 회장의 2기 경영체계는 반성과 성찰 없는 적폐의 연장일 뿐이다”며 “최정우 회장이 아무리 장밋빛 미래전망을 발표해도 이젠 믿는 사람이 없다.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자본시장법 위반 등 검찰 수사 대상으로 전락했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산재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포스코의 이윤중심, 생산제일주의, 성과주의 중심의 시스템 철회와 죽음의 외주화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정비비와 정비인원을 늘리고, 노후설비를 개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밖에도 CCTV나 액션캠 등 현장통제 방법이 아닌 2인 1조 작업을 이행하며, 비상경영이라며 3년간 하청업체 인원 15% 감축을 즉시 철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현장 노동자와 노동조합의 참여하에 안전보건시스템을 혁신할 것과 현장 노동자의 목소리를 귀담아들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