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정시 운행에 고통받는 버스 기사들 [제보+]

제보추적 / 이수근 기자 / 2021-11-08 17:41:26
  • 카카오톡 보내기
제보자 A 씨 “성과급제도로 기사들 핍박…제도적 장치 시급”
▲서울 시내버스 성과급 및 점수제로 인해 버스 기사들에게 가해지는 압박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사진=newsis)

[일요주간 = 이수근 기자] 서울 시내버스 운수사의 성과급 및 점수제로 인해 버스 기사들의 불만이 계속되고 있다.

 

제보자 A 씨에 따르면 서울시의 정시성에 대한 배점 때문에 버스회사에서는 성과급을 받기를 원한다. 이로 인해 임의로 회사에서 교통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배차간격이 짧으면 단말기로 문자를 보내 기사들을 압박하고 있다.

A 씨는 “회사 관리자와 사장은 임의로 카운팅해 게시판에 붙여 망신을 주기도 한다”며 “이 때문에 많은 기사가 불려가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폭언과 협박을 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헌재 서울의 65개 시내버스회사를 대상으로 순위를 매긴다. 이 가운데 상위 40개 회사는 순위별로 추가성과 이윤을 차등 지급하고 있다. 특히 총 1000점 가운데 배차 정시성의 비중은 90점이다. 버스회사들은 자신들의 수익과 직접 연결돼 있어 평가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또 점수와 상관없이 1위와 2위 업체 간 성과급이 달라지기 때문에 버스 기사들에 대한 압박이 상당하다. 이 때문에 버스 기사들의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니다.
 

A 씨는 “인권적인 부분에서도 매우 심각하다”고 했다.

A 씨는 “서울시 버스정책과 직원들이 몰래 시내버스 잠입해 운행 생태를 평가한다”며 “이들이 감점을 주는 데 목적을 두고 암행하게 되면 걸리지 않을 운전기사가 없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서울 시내버스 성과급제도는 매우 불합리하다”고 비판했다.

A 씨는 “버스 운전기사들을 핍박하고 옥죄면 아무래도 점수가 잘 나오기 때문에 상위권 회사들의 기사들은 일하기 매우 힘든 상황”이라며 “이러한 성과급제도로 기사들을 핍박할 게 아니라 제도적인 장치가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그러나 아직도 사측이 말하는 것을 무조건 수용해야 그나마 일할 수 있는 게 현실”이라며 “만약 회사에서 노동법을 준수하지 않아 고발이라도 쫓겨날 각오하고 노동부에 가야한다”고 했다.

A 씨는 “버스회사는 일반기업처럼 인권이 존중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와 노동부 그리고 서울시가 개입해 제도개선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회사마다 사고나 민원 발생이 일어나면 주는 징계 매뉴얼도 모두 틀리다”며 “이러한 부분도 서울시, 정부, 노동부가 나서 통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