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욱이 부산일보를 소유하고 있는 정수재단 최필립 이사장의 ‘부산일보를 팔아버리겠다’는 폭탄발언과 1995~2005년까지 정수재단이사장을 역임했던 박근혜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비대위위원장이 문제를 명백히 털고 가야한다는 새누리당 일부 국회위원들의 요구와 정수재단의 진정한 사회 환원을 바라는 부산일보 노동조합을 비롯한 다수의 시민사회단체의 요구가 팽팽하게 맞물려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고 김지태씨 유족들이 정수장학회를 돌려달라는 민사소송을 진행 중이어서 부산일보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이에 <일요주간>은 지난 10일 이호진 부산일보노동조합위원장을 만나 부산일보 사태의 현상황과 관련해 인터뷰를 가졌다.
지난해 11월 30일 벌어진 부산일보 발행 중지와 홈페이지 폐쇄 사태에 대해 이 위원장은 “이번 사태는 편집권독립을 위해 노조결성과 더불어 파업을 했던 1988년 이후 23년 만에 일이다.
그래서 부산일보를 사랑해주신 독자 여러분들께는 노사갈등으로 비쳤을 것이다”고 밝히고 “하지만 이날 신문 1면과 2면에 ‘정수장학회의 사회환원’과 ‘사장후보추천제도입’을 촉구하는 기사와 이를 주장하다 해고된 저(이호진노조위원장)와 이정호 편집국장의 대기발령의 부당함을 비판하는 기사 때문에 사장이 윤전기를 세워 벌어진 초유의 사태다. 이는 언론사 사장으로서 사회적 의무와 언론의 공공성과 중립성, 표현의 자유를 파괴한 행위이며 부산시민의 귀와 눈을 멀게 한 후안무치한 행동이다”고 주장했다.
부산일보에 있어 정수장학회는 어떤 것일까.
이에 대해 이 위원장은 “정수재단의 진정한 사회 환원은 350만 부산시민들의 염원이며 편집권독립을 바라는 부산일보구성원들의 바람이다. 부산일보의 소유주인 정수장학회는 1982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정자와 육영수의 수자를 따 지은 것이다.
5.16쿠데타세력의 자금지원요청을 거절한 김지태(삼회고무회장. 1982년 타계)를 구속하고 부일장학회의 땅10만평과 부산일보, 한국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등의 주식100%를 강탈(1962년5월25일)해 두 달 후인 7월 16일 박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설립한 5.16장학회가 전신이다”고 부산일보와 정수장학회와의 관계를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지난 50년 동안 박 전 대통령의 친인척들이나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낸 이후락씨을 비롯한 당시 고위관료출신인사들에 의해 관리 되어 왔다.
그러다 1995년부터 박근혜씨가 이사장직을 맡게 되는데 2004년 17대 총선을 치루며 정수장학회의 소유인 부산일보가 공정보도시비에 휘말리고, ‘국정원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가 부일장학회강제헌납에 대해 조사를 하겠다는 것에 정치탄압이라 반발, 언론과는 아무 관련 없는 유신시절 자신의 의전공보비서관을 지냈던 최필립씨를 후임으로 지목하고 2005년2월에 물러났다”며 “최필립씨는 2006년 김종렬씨를 부산일보 사장으로 낙하산인사를 단행, 현재까지도 부산일보 신문편집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이는 공정보도라는 신문의 고유성을 파괴하는 행위이며 부산일보는 박근혜씨와 운명을 같이 해야 한다는 허무맹랑한 잔재인 것이다”고 주장했다.
그럼 정수장학회의 진정한 사회 환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이 위원장은 “2007년 ‘진실화해를 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1962년 당시 중앙정보부관계자 등이 김지태씨에게 재산을 헌납 받은 것은 공권력에 의한 강요였다’며 ‘국가는 토지와 주식을 돌려주고 원상회복이 어려울 경우 손해를 물어줘야 한다’는 진실규명 및 권고를 했다”며 “이에 박근혜씨는 ‘이미 정수재단이 공익법인이기 때문에 누구에게 돌려주거나 사회에 환원할 이유가 없다’며 일축했다.
이는 정치인으로서 무책임한 발언으로 도둑질해 축척한 재산을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는 공범으로 대한민국사회를 규정한 것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부산일보 노조는 정수재단이 특정세력이 아닌 공익법인으로서의 공공성과 도덕성을 합리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사람들로 채워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장선임재도에 대해 이 위원장은 “부산일보는 지난 1988년 노조결성과 더불어 정수재단이 일방적으로 임명해 왔던 편집국장을 선출하는 ‘3인추천제’를 쟁취 20년 넘게 편집권독립을 유지해 왔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선거 때마다 ‘박근혜 신문’이라는 꼬리표와 함께 공정보도시비에 휘말려 왔다. 이는 정수재단의 낙하산인사로 앉은 사장의 독단과 독선이 신문편집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친 까닭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래서 저희 노동조합이하 부산일보구성원들은 2006년도부터 사장선임재도 개선을 요구 해왔었고,2006년, 2009년, 2011년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사장을 서임하는데 적극 협조 노력하자는 노사간의 합의문을 작성했다.
그리고 2011년 3월 사장호보추천위원회를 구성, 후보를 추천하는 안까지 합의를 했는데, 재단은 아무런 설명 없이 이를 거부, 노동조합 위원장인 저(이호진)을 11월 29일 면직시켰고, 11월 30일엔 신문발행 중지와 더불어 이정호편집국장을 대기발령 시켰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이는 누가 봐도 일방적이고 굴욕적인 경영독재이고 편집권침해라고 볼 수 있다”고 전제하고 “저희 노동조합이하 구성원들은 정수장학회가 하루라도 빨리 민주적인 절차를 통한 사장선임제를 받아들일 것을 촉구한다”며 “이를 위해 새누리당의 비대위 박근혜위원장이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 그것이 부산일보가 거듭나는 길일 것이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이 위원장은 “올해는 총선과 대선이 동시에 치러지는 해다. 박근혜씨는 총선을 진두지휘, 직접대선에도 출마 할 것은 안 봐도 빤한 사실이다. 그렇게 되면 부산일보는 과거 어느 때보다 정치적 논란에 휩싸일 것이다”며 “그래서 정수재단과 부산일보의 관계가 보다 더 독립적이어야 된다.
그 동안 5.16쿠데타의 잔재인 정수재단 또한 더 이상 공익단체라는 제도 뒤에 숨겨 놓고 방관할게 아니라 이젠 진정한 사회 환원절차를 밟아 이사회의 도덕성과 공공성을 확립하는데 단초로 삼아야 할 것이다. 부산일보의 이번 투쟁이 진정 독자와 시민의 눈과 귀가되고 성역 없는 비판 언론의 길이라 생각하며 끝까지 투쟁 할 것이다”고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