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is
[일요주간= 이수근 기자] 전·월세난 불안 해소를 목적으로 탄생한 도시형생활주택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형생활주택은 1~2인 가구의 전·월세난 해소를 목적으로 지난 2009년 4월에 탄생했다. 아파트와 달리 6개월에서 1년이면 준공이 가능해 2011년 이후 준공물량이 급증했다. 하지만 일정 지역에만 집중 공급되면서 전·월세난 해소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도시형생활주택은 올 3월까지 총 33만959가구, 연평균 7~8만가구가 준공됐다. 지난 8년 동안 오피스텔 공급물량(연평균 3만3000실) 대비 2배 이상 물량이 쏟아지는 등 단기간에 물량이 급증했다. 하지만 전체 물량의 70%가 서울과 경기, 부산에 집중되는 등 지역별 편중현상이 심했다.
특히 34.1%(11만2943가구)가 서울에 집중됐다. 이 중에서도 강서구나 영등포구, 구로구 등 서·남부권에 더 쏠렸다. 경기에는 전체 물량의 24.8%를 차지하는 8만1991가구가, 부산에는 12.0%인 3만9678가구가 공급됐다.
공급 유형이 다양하지 않아 선택의 폭이 좁다는 지적도 나왔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10채 중 6.5채는 원룸형으로 공급됐다. 이는 원룸형 도시형생활주택이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법 규정의 예외사항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더 많이 공급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짧은 시간에 준공하면서 주차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한 점도 문제다. 진입도로가 좁아 화재나 지진 등 재난에 취약하다는 점도 우려된다.
윤지해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우후죽순 쏟아내다보니 그동안 특정 지역에만 편중되게 공급됐다"며 "1~2인 가구 전·월세난 해소를 위해 지역별 공급량을 조절해 거주 만족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