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이수근 기자]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차주(대출자)의 상환능력 심사 기준을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5월부터 비수도권에도 도입됐지만 효과가 미미하다. 외려 부동산 비수기인 7~8월에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1일 은행권에 따르면 6대 주요은행(신한·KB국민·KEB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의 8월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전달 대비)은 올 들어 두번째로 컸다. 가계대출은 올 들어 가장 많이 늘었다.
지난달 6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517조8489억원으로 전달과 비교해 6조2104억원 늘었다. 올 들어 가계대출 증가액이 6조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이 처음이다.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1월부터 6월까지 꾸준히 커졌다. 증가액을 보면 1월 8069억원, 2월 1조923억원, 3월 2조5322억원, 4월 3조753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후 5월과 6월 각각 5조1807억원, 5조3851억원 늘었다가 7월 증가액은 4조5159억원에 그쳤다.
하지만 8월 증가액이 6조2104억원으로 뛰어올라 올 들어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도 올 들어 두번째로 조사됐다.
지난달 6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71조5049억원으로 전달(367조5167억원)보다 3조9882억원 늘었다.
전달과 비교해 4조2019억원이 증가했던 7월 다음으로 증가액이 컸다.
올해 월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을 보면, 1월 1조3308억원을 기록했지만 수도권에서 우선 시행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의 영향으로 2월 증가액은 8460억원으로 줄었다. 하지만 3월 2조1629억원, 4월 3조2066억원, 5월 3조5421억원으로 오름세를 지속했다.
이후 6월 증가액은 3조1771억원으로 나타나 증가세가 꺾이는 듯했지만 재건축을 중심으로 아파트 거래량이 늘면서 비수기인 7월 증가액이 외려 4조원대로 올라섰다.
이렇듯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둔화하지 않는 이유로는 우선 저금리 기조가 꼽힌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7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7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2.66%로, 지난 6월(2.77%) 이후 한달 만에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이같은 저금리 기조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저금리 상황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투자자들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면서 재건축 단지로 몰린 것도 주택담보대출을 끌어올렸다. 부동산 시장에서 7~8월은 비수기지만 올해 이 기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울러 입주 시기가 다가와 기존의 중도금대출이 개인별 주택담보대출로 전환된 것도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임채우 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중도금대출이 입주 시점에 잔금대출로 바뀌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차주(대출자)의 상환능력 심사 기준을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5월부터 비수도권에도 도입됐지만 효과가 미미하다. 외려 부동산 비수기인 7~8월에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1일 은행권에 따르면 6대 주요은행(신한·KB국민·KEB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의 8월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전달 대비)은 올 들어 두번째로 컸다. 가계대출은 올 들어 가장 많이 늘었다.
지난달 6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517조8489억원으로 전달과 비교해 6조2104억원 늘었다. 올 들어 가계대출 증가액이 6조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이 처음이다.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1월부터 6월까지 꾸준히 커졌다. 증가액을 보면 1월 8069억원, 2월 1조923억원, 3월 2조5322억원, 4월 3조753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후 5월과 6월 각각 5조1807억원, 5조3851억원 늘었다가 7월 증가액은 4조5159억원에 그쳤다.
하지만 8월 증가액이 6조2104억원으로 뛰어올라 올 들어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도 올 들어 두번째로 조사됐다.
지난달 6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71조5049억원으로 전달(367조5167억원)보다 3조9882억원 늘었다.
전달과 비교해 4조2019억원이 증가했던 7월 다음으로 증가액이 컸다.
올해 월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을 보면, 1월 1조3308억원을 기록했지만 수도권에서 우선 시행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의 영향으로 2월 증가액은 8460억원으로 줄었다. 하지만 3월 2조1629억원, 4월 3조2066억원, 5월 3조5421억원으로 오름세를 지속했다.
이후 6월 증가액은 3조1771억원으로 나타나 증가세가 꺾이는 듯했지만 재건축을 중심으로 아파트 거래량이 늘면서 비수기인 7월 증가액이 외려 4조원대로 올라섰다.
이렇듯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둔화하지 않는 이유로는 우선 저금리 기조가 꼽힌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7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7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2.66%로, 지난 6월(2.77%) 이후 한달 만에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이같은 저금리 기조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저금리 상황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투자자들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면서 재건축 단지로 몰린 것도 주택담보대출을 끌어올렸다. 부동산 시장에서 7~8월은 비수기지만 올해 이 기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울러 입주 시기가 다가와 기존의 중도금대출이 개인별 주택담보대출로 전환된 것도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임채우 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중도금대출이 입주 시점에 잔금대출로 바뀌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