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4차 산업혁명 선도 ‘PaaS-TA 클라우드 아카데미’ 개설

사회 / 김바울 / 2017-04-14 17:37:25
  • 카카오톡 보내기
중소기업·벤처기업과 함께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인력 창출
▲ 건국대 인공지능클라우드연구센터(CLAIR, 센터장 김두현)는 14일 중소기업·정보기술 벤처기업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정보서비스를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개발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나섰다고 밝혔다.

[일요주간=김바울 기자] 건국대학교가 중소기업·벤처기업 등과 함께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PaaS-TA 클라우드 아카데미’를 개설했다.

건국대 인공지능클라우드연구센터(CLAIR, 센터장 김두현)는 14일 중소기업·정보기술 벤처기업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정보서비스를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개발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나섰다고 밝혔다.

인공지능클라우드연구센터는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이사장 한남석), NIA(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클라우드지원센터와 함께 대학생과 중소 벤처기업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인 ‘PaaS-TA(파스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PaaS-TA 클라우드 아카데미’를 개설하고 13일 제1기 수료생 20명을 배출했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특정 인프라에 구애받지 않는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말하는 것으로 모바일폰에서 안드로이드가 하는 역할을 클라우드에서는 PaaS가 하고 있다.

현재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IBM 등 글로벌 대기업이 자사 중심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열띤 경쟁을 벌이고 있는 분야다.

특히 기업 간 개발 환경이 서로 다르고 상호 호환이 불가능해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이들이 사용하는 각각의 플랫폼에 맞게 별도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PaaS-TA는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행자부 산하 한국정보화진흥원은 16개 기업과 함께 2014년 3월 개방형 클라우드 기술 개발·표준화, 정부와 공공기관 등 공공 부문용 클라우드 선도 적용과 확산, 국내 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을 목적으로 개발했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의 약자이며 TA는 Thank you의 약자로 ‘개방형 PaaS에 타라’는 의미도 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PaaS-TA와 관련해 많은 인력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배경에서 행자부 산하 NIA와 클라우드 산업체 조합, 건국대 ITRC가 협약을 맺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건국대 ‘PaaS-TA 클라우드 아카데미’는 대학생과 중소기업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개설된 클라우드 교육 프로그램으로 재학생의 경우 취업 및 진로설정과 연계되며 기업 재직자들은 오픈 PaaS 기술 습득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실습위주로 진행됐다.

건국대 김두현 교수(소프트웨어융합학과)는 “세계적으로 ICT활용 패러다임이 정보시스템을 자체 구축하는 방식에서 업무혁신 등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전환하고 있다”면서 “건국대와 기업들이 함께 개설한 클라우드 아카데미가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인력에 대한 산업계의 수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2기 선발은 연구센터 홈페이지과 연구조합의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될 예정이며 대학생 및 중소기업 재직자의 경우 참여가 가능하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