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주간=김바울 기자]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전월대비 상승했지만 기준선인 100은 여전히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새 정부 출범 후 대내 불확실성 해소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다소 높아졌지만 기업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그리 밝지는 않았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 조사 결과, 6월 전망치는 99.1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에 비해 7.4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작년 5월 102.3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BSI가 100 보다 높을 경우 경기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을 한 기업 수가, 100 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응답을 한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한국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기업들은 작년 11월 이후 수출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대선 이후 대내 불확실성의 해소로 내수가 회복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지만 미국, 중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대외 불확실성과 수출의 편중 효과가 여전히 존재했다”며 “1,36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제한돼 반영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수출의 경우 4월 총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24.2% 증가했지만, 전체 수출액의 36.4%를 차지하는 상위 3대 주력 품목의 증가율은 58.4%에 달했다. 반면 이를 제외한 증가율은 10.5%로 상위 3대 주력 품목과 그 외 품목의 증가율 차이가 컸다.
기업들의 5월 실적치 역시 4월에 비해 올랐으나 25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했다. 실적치를 부문별로 보면 대부분 부진한 가운데 수출(96.5), 투자(98.6), 자금사정(98.8), 재고(101.9), 채산성(99.1)은 전월에 비해 상승했고 내수(97.7)와 고용(98.4)은 하락했다.
업종별로 보면 경공업(93.1)의 경우,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75.0), 펄프·종이 및 가구(92.9)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할 전망이다. 5월 실적(94.8)은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81.3) 등을 중심으로 부진을 기록했다.
중화학공업(93.9)의 경우 의료·정밀·전기 및 기타기계(83.9), 자동차·트레일러 및 기타운송장비(85.7),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