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최종문 기자] “노무현 정부가 시작한 일, 문재인정부가 끝내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부산항에서 열린 미래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북항재개발 1단계 사업은 11년 전 노무현정부 때 기획해 시작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착실히 지반을 다져왔고, 국제여객터미널도 새로 개장했다”며 “이제 더욱 속도를 내서 제 임기인 2022년까지 마무리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심에 위치한 북항은 부산 발전의 새로운 비전이 될 것이다. 북항 구역은 서울 여의도보다 2.5배 크다”며 “관광, 문화, 해양산업 비즈니스로의 성장 가능성이 풍부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항이 개발되면 시민들은 자연과 문화와 첨단시설이 어우러진 친수공간을 즐길 수 있다”면서 “오페라하우스와 해양공원이 부산의 새로운 명소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특히 부산항을 세계 최고수준의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해상물류 시스템을 만들어 내자고 했다.
문 대통령은 “자율운항선박, 초고속 해상통신망, 스마트 항만을 연계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세계적인 항만모델을 우리가 선도하자”며 “정부가 나서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부산항의 첨단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부산신항이 메가포트로 발전할 수 있도록 시설 확충도 본격적으로 시작하겠다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현재 21선석 규모를 2022년까지 29선석, 2030년에는 총 40선석으로 확대하겠다”며 “연간 컨테이너 3000만 개(TEU)를 처리할 수 있는 초대형 터미널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선박용 LNG 공급기지, 대형선박 수리조선 단지 조성은 부산항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일자리를 늘릴 것”이라며 “항만 배후단지도 지금보다 8배 넘는 규모로 확대해 생산과 가공, 물류와 비즈니스가 서로 연계된 종합 물류허브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과 신남방정책의 성공여부도 부산항의 혁신에 달려있다”며 “다시 힘을 모아 부산의 열정과 대한민국의 소망을 담아 세계 최고의 물류허브 부산항을 만들어내자”고 했다.
이와 함께 “지금 우리는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다”면서 “세계사적인 대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가 이 기회를 잘 살려내 남북한을 잇는다면 한반도의 운명도 극적으로 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세계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의 꿈이 현실이 되고, 부산은 대한민국 해양수도를 넘어 아시아의 해양수도가 될 것”이라며 “철도, 공항과 함께 육해공이 연계되는 동북아 물류거점도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