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년간 추진해온 대형사 위주 정책 결과로 판단...소형사 입지 앞으로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
[일요주간=김완재 기자] “국내 증권산업이 지난 5년간 52.1%의 성장세를 보이는 등 크게 성장했으나 대형 증권사에 편중된 모습을 띄고 있다.”
18일 장정모 자본시장포커스 연구위원은 “대형 증권사가 중소형 증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성장한데 따라 올해 초 증권산업의 자산규모는 411조원을 기록했다”면서 “그러나 대형화에 성공한 이들 증권사들도 자금조달 구조와 수익구조는 중소형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며 이 같이 밝혔다.

자본시장포커스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55개 증권사들의 당기순이익은 2조6978억원으로, 2007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5년간 52.1%의 성장세를 보인 증권산업은 동기간 일반은행, 특수은행, 외은지점 등 은행사업의 총자산이 34.2%(2249조원→3019조원),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등의 보험산업이 44.9%(768조원→1113조원) 증가한데 비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증권산업이 지난 수년간 자본 확충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높아지지 않아 전체 ROE가 낮았던 것을 감안하면 희소식이다.
그러나 장 위원은 “다만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규모 격차가 확대됐다”며 “이러한 수익성 증가가 대형사에게 편중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증권산업의 성장 배경에는 대형 증권사의 급성장이 있는데, 2018년 3월 기준 대형사의 평균 총자산은 44조3600억원으로 중형사(19조200억원)의 2.3배에 달한다. 대형사의 총자본 또한 5조1522억원으로 중형사(2조5087억원)의 2배 이상이다.
2012년 말 대형사의 평균 총 자산이 20조1600억원, 중형사 13조8900억원, 총자본 대형사 3조3698억원, 중형사 1조7669억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상당히 큰 변화다.
이에 대해 장 위원은 “이 같은 격차는 지난 수년간 추진해온 대형사 위주 정책의 결과로 판단된다”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소형사의 입지는 앞으로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실제 금융당국은 2000년대 중반 이후 국내 증권산업에서 대형 증권사를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그 시발점이 된 정책은 2013년 도입된 종합금융투자사업자제도로, 그 내용은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인 증권사에 대해 프라임브로커 등 신규업무를 허용했고 2016년 8월부터는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인 경우에 단기금융업무를 인가받을 수 있게 했다.
즉 자금이 있어야 신규 업무를 영위할 수 있게 되자 기존 대형증권사들이 자발적 M&A 등을 통해 대형화를 적극 추진하게 됐다는 것.
문제는 대형화에는 성공했지만 대형 증권사들의 자금조달 구조와 수익구조는 중소형사와 크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소형사의 경우 자기자본비율이 13.8%로 중형사(12.5%)나 대형사(11.6%)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산대비 총부채 비율은 모두 80%대 후반대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띄었다.
이들 모두는 수익구조의 경우에도 투자은행 및 자산관리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 규모와 관계없이 위탁매매의 비중이 40% 안팎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형사와 중형사는 자기매매 비중이 각각 38.4%, 35.0%로 상대적으로 높은데 반해 소형사의 경우 투자은행 수익비중이 20.7%로 중대형사(12%대)에 비해 높았다.
장 위원에 따르면 증권사 규모별로 자금조달 및 수익구조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이유는 이들 모두가 종합증권사 모델을 추구하고 있어서다. 취급하는 상품 및 업무가 동일하다고 해 일정 규모 이상의 증권사가 특정부문에 집중할 경우 수익성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증권산업의 경쟁도에서는 대형화 영향이 보다 명확히 나타나고 있었다. 완전경쟁 상태를 수렴한 증권산업이 최근에 들어서야 집중화된 상태로 갈 가능성을 조금씩 보이고 있는 것이라는게 장 위원의 설명이다.
장 위원은 “바람직한 증권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소형사의 장기적인 생존전략이 무엇이 돼야할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소형사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독자적이든 다른 소형사 혹은 IT기업과의 합작 등을 통해서든 과감한 특화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