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요주간 = 강현정 기자] 지난해 세계 금리와 물가 오름세에 따라 10대그룹 상장사 두 곳 중 한 곳의 재무건전성이 나빠지고 21곳의 부채비율은 20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이른바 ‘삼중고’를 겪으며 부진한 실적을 냈다. 금융회사는 채권 평가손실이 더해지며 부채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부채비율은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얼마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 정부는 기업들의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낮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10일 한국거래소가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롯데, 포스코, 한화, GS, 현대중공업, 신세계 등 10대그룹(농협 제외) 상장사 106곳이 상장공시시스템(KIND)에 올린 2022년도 사업보고서상 별도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부채비율이 1년 전보다 높아진 곳은 56곳으로 절반 수준이다.
특히 이들 10대그룹 계열 상장사 중에서 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기업은 21곳으로 보험과 증권 등 금융 계열사들의 부채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화손해보험으로 별도 기준 부채비율이 작년 말 8030.90%로 1년 전 1260.45% 대비 6배 급증했다. 한화생명의 부채비율도 2021년 1170.96%에서 작년 말 1907.45%로 높아졌다.
삼성 금융 계열사들의 별도 기준 부채비율을 보면 삼성생명이 1년 전(808.33%)의 두 배에 육박하는 1491.60%로 높아졌으며 삼성화재(703.11%)와 삼성증권(697.84%) 부채비율도 600%를 넘었다.
그 외 같은 기간 현대차증권 부채비율은 1년 전 587.14%에서 675.49%로, 한화투자증권은 490.61%에서 600.93%로 각각 높아졌다.
서비스업종 중에서는 SK렌터카 부채비율이 작년 말 544.45%로 500%를 넘어섰으며 롯데렌탈 부채비율은 재작년 408.43%에서 작년 449.33%로 뛰었다. 호텔신라 부채비율 역시 361.18%로 300%를 넘어섰다.
전기·전자업종에선 LG디스플레이 부채비율이 작년 말 298.06%로 1년 전(176.98%)의 1.7배에 달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