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사고 낸 건설사 국토부가 직접 처분…지자체서 환원

e산업 / 강현정 기자 / 2022-03-29 13:59:09
  • 카카오톡 보내기
국토부, 29일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부실시공 사고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

 

▲ 광주 서구 화정동 HDC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아파트 붕괴 사고 현장 <사진=뉴시스>

 

[일요주간 = 강현정 기자] 국토교통부가 중대사고 책임 시공사를 직접 처분하기 위해 기존 지방자치단체에 이관돼있던 처분 권한을 회수한다.

 

국토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 개정안은 현재 시·도 등 지자체로 위임해 놓은 건설업 등록말소 또는 영업정지 처분 권한을 국토부가 회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28일 HDC현대산업개발에 대한 엄정한 처분을 서울시에 요청하며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개정안을 개정할 계획임을 언급했다.

 

국토부가 직권 처분하는 사고는 건설사고조사위원회가 설치되는 사고로 제한되며, 위원회는 사망자 3명 이상 부상자 10명 이상, 붕괴 및 전도로 재시공이 필요한 사고가 발생 시 소집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와 같은 중대 사고에 책임이 있는 건설사에 대한 처분은 국토부가 직접 내리게 된다.

 

이번 조치는 지자체에 처분 권한이 위임돼 사고 업체에 대한 처분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고 솜방망이 처분이 내려지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지자체들은 형사판결 결과가 나와 위법성이 확인될 때까지 처분을 미루고 민원과 소송 등을 우려해 처분에도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다.

 

한편, 국토부는 전날 지난 1월 광주 아파트 신축 현장에서 붕괴사고를 낸 HDC현대산업개발에 대해 ‘가장 엄중한 처분’을 요청했으나 처분관청인 서울시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이번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최대한 강력한 처분을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면서도 실무적으로는 소송 등에 대비해 법 적용을 신중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는 “부실시공 사고에는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고, 국토부가 직접 사고 업체를 처분해 처분까지 소요 기간을 줄이겠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현정 기자

강현정 / 산업1팀장 기자

khj927200@naver.com 다른기사 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