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직업암 산재 판단 지지부진...노동계 “근로복지공단 방관 규탄”

현장+ / 이수근 기자 / 2023-02-15 09:49:02
  • 카카오톡 보내기
-포스코 노동자 3명 집단 산업재해 신청, 현재까지 업무지연...“직업암 산재 노동자 방관하면 안 돼”
▲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포스코사내하청지회 조합원들이 10일 근로복지공단 울산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일요주간 DB)

 

[일요주간 = 이수근 기자] 포스코 하청노조가 직업암으로 신음하는 포스코 노동자들의 산재 판정 업무를 지연하고 있는 근로복지공단에 즉각적인 산재 판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금속노조 산하 포스코 사내하청지회는 지난 10일 울산혁신도시 내 근로복지공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에서 수십 년 일했던 노동자들이 직업암으로 생사를 넘나들고 있다”며 “2021년 집단 산재 신청을 했지만 현재까지 근로복지공단은 업무를 지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21년 10월 3명의 노동자가 직업암으로 산업재해 신청을 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40여년 간 석회석, 철광석, 석탄 등 원료공급 작업을 하다가 폐암에 걸리고 30여 년간 롤(ROLL) 정비 작업을 하다가 폐암에 걸린 노동자”라며 “포스코 직업암 산재 노동자들이 산업재해 판정을 받고 치료와 건강 회복에 집중해 다시 건강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포스코 직업병 노동자들의 가해자인 포스코는 원인분석, 재발 방지, 피해구제 등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청노조는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2021년부터 올해까지 포스코와 하청업체를 포함한 철강제조업을 대상으로 집단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한 진행 경과와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고 했다.

또 “고용노동부 산하 근로복지공단은 직업암에 대한 산업재해 업무를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며 “이 모든 업무의 핵심 부서인 고용노동부는 관리감독 등 보다 적극적인 행정지도를 통해 포스코 직업병 실태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속노조와 하청지회는 포스코 노동자들의 직업병 문제에 대해 포스코에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직업병에 대한 코호트 조사(특정 요인에 노출된 집단과 노출되지 않은 집단을 추적하고 질병 발생 관계를 조사)도 요구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는 포스코 직업암 역학조사 시 노동조합 참여 촉구를, 근로복지공단에 신속한 산업재해 판정을, 고용노동부에는 직업암 건강영향평가 진행을 요구했다.

이들은 “하지만 포스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로복지공단, 고용노동부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포스코는 직업병 실태조사 및 원인분석 등에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직업암으로 신음하고 있는 포스코 노동자들의 안정적인 치료와 재활을 위해 근로복지공단은 신속하게 산업재해 판정을 내려야 한다”며 “근로복지공단은 업무지연, 시간 끌기, 책임회피를 중단하고 더 이상 직업암 산재 노동자들을 방관하면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