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례A1-14 전용 59㎡ 일반공급 청약저축 불입액 최고 3,907만 원, 당첨자 하한선 당해 2,510만 원, 수도권 2,460만 원
![]() |
▲ 서울주택도시공사 전경(사진=SH공사) |
[일요주간=김영란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 김헌동)가 지난 1월 15일부터 1월 19일까지 접수받은 마곡지구 16단지 및 위례지구 A1-14블록 분양주택의 사전예약에 따른 일반공급 당첨선과 특별공급 당첨 가점 등을 발표했다.
자세한 내용은 31일 오후 4시 이후 SH공사 누리집(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SH공사는 마곡지구 16단지 토지임대부 및 위례지구 A1-14블록 이익공유형 분양주택 사전예약 결과, 일반공급 청약저축 당첨 하한선은 마곡 1,760만~2,260만 원이며, 위례 1,972만~2,510만 원으로 집계됐다고 31일 밝혔다.
![]() |
▲ 일반공급 당첨하한선(마곡 16단지) (표=SH공사) |
마곡지구는 총 273세대 모집에 8,300여명이 지원해 평균 31:1, 위례지구는 333세대 모집에 2만1,600여명이 지원해 평균 65:1의 경쟁률로 마감했다.
당첨자 선정 결과, 마곡지구 16단지 일반공급 당첨자의 청약저축 불입액은 최고 3,150만 원(전용 59㎡)으로 기록됐다. 당첨 하한선은 3년 이상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 전용 39㎡= 납입횟수 198회 ▲ 전용 51㎡=1,760만 원 ▲ 전용 59㎡=2,260만 원 ▲ 전용 84㎡=2,252만 원으로 전량 서울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마감됐다.
![]() |
▲ 특별공급 당첨하한선(마곡 16단지) (표=SH공사) |
특별공급의 경우 청년 유형은 ▲ 우선공급 9점 ▲ 잔여공급 당해 12점 등 모든 면적에서 가점 만점자 추첨으로 당첨자를 선정했다. 신혼부부 유형은 ▲ 전용 39㎡=우선공급 8점, 잔여공급 수도권 6점 ▲ 전용 51㎡=우선공급 9점, 잔여공급 9점 ▲ 전용 59㎡=우선공급 9점, 잔여공급 10점 ▲ 전용 84㎡=우선공급 9점, 잔여공급 11점에서 추첨을 진행했다. 생애최초 유형은 전원 추첨으로 당첨자를 선정했다.
특별공급 가점 만점은 우선공급 9점, 잔여공급 12점이다.
위례지구 A1-14블록 일반공급 당첨자의 청약저축 불입액은 최고 3,907만 원(전용 59㎡)으로 집계됐다. 당첨 하한선은 3년 이상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 전용 50㎡=당해 2,090만 원, 수도권 1,972만 원 ▲ 전용 59㎡=당해 2,510만 원, 수도권 2,460만 원 선으로 마감했다.
![]() |
▲ 일반공급 당첨하한선(위례 A1-14블록) (표=SH공사) |
특별공급 가점 만점은 우선공급 9점, 잔여공급 12점이다.
특별공급의 경우 청년 유형은 ▲ 우선공급 9점 ▲ 잔여공급 12점 등 모든 면적 및 지역에서 가점 만점자 추첨으로 당첨자를 선정했다. 신혼부부 유형은 ▲ 전용 50㎡=우선공급 9점, 잔여공급 10점(전 지역) ▲ 전용 59㎡=우선공급 9점, 잔여공급 12점(당해), 11점(수도권)에서 추첨했다. 생애최초 유형은 전원 추첨으로 당첨자를 선정했다.
![]() |
▲ 특별공급 당첨하한선(위례 A1-14블록) (표=SH공사) |
마곡지구 16단지는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으로 토지는 공공이 소유하고 지상의 건축물은 수분양자가 소유하는 공공분양주택이다. 위례지구 A1-14블록은 이익공유형 분양주택으로 거주의무기간 이후 공공주택사업자에게 환매 시 처분 손익의 70%를 수분양자에게 귀속하는 방식이다.
마곡지구 16단지는 2027년 2월 본청약, 2027월 9월 입주 예정이며, 위례지구 A1-14블록은 2027년 7월 본청약, 2028년 2월 입주 예정이다. 본청약은 공정 90% 시점에 진행하는 후분양으로 당첨자는 실제 집을 확인한 뒤 계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H공사는 이번에 선정한 당첨자를 대상으로 향후 소득·무주택·자산 등 선정기준 부합 여부를 심사해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마곡 토지임대부 및 위례 이익공유형 분양주택 사전예약에 보내주신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무주택 시민과 청년·신혼부부 등이 내 집 마련 꿈을 이룰 수 있도록 고품질 백년주택을 합리적인 분양가에 공급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