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 서울지역본부(본부장 김승환)가 지난 4월 서울지역 IT 및 벤처 중소기업 108개 업체를 대상으로 ‘서울지역 IT 및 벤처 중소기업 경영애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서울 소재 중소기업들은 현행 공공구매제도와 관련한 만족도 조사에서 중소기업 60.4%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불만족」이란 응답이 31.1%로 나타났다.
공공구매와 관련한 만족도 조사에서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업체의51.6%가 공공구매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수익성 악화(최저가 낙찰)”라고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공공구매 물량 감소”(16.1%), “경쟁심화 및 전문인력 부족”(12.9%), 불공정 경쟁체제”(12.9%) 라고 응답했다.
최근 대기업의 공공정보화사업 입찰참여 하한선을 종전 10억원에서 20억원으로 상향 조정한 정부정책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88.8%가 비교적 긍정적(보통 44.9% + 긍정적 43.9%)이라고 응답하였고,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11.2%로 나타나 중소 IT· 벤처기업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정부의 저탄소 녹생성장정책과 관련, 중소기업 36.5%가 정부의저탄소 녹색성장정책이 기업경영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응답하였고,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15.9%로 조사됐다.
이중, 중소기업 44.3%가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정책 추진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반면 「참여하겠다」(42.5%), 「참여하지 않겠다」(13.2%)라고 응답했으며, 참여하지 않겠다」라고 응답한 이유는 「현재의 사업과 연관성이 없어서」(77.8%), 「대기업 위주의 정책이기 때문에」(22.2%) 등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서울시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중소기업 지원 분야는 중소기업 63.9%가 「정책자금 지원확대」를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지원」(41.7%),「제품수요 확대」 (36.1%)「전문인력 양성 및 확충」(13.9%),「해외진출 확대」(8.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중소 IT기업 및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만족도는 응답기업의66.1%가 비교적 만족(보통 47.2% + 만족 18.9%)이라고 응답한 반면, 「불만족한다」는 업체도 34%로 나타나 서울시의 관심과 지원이 더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서울지역 IT·벤처기업의 65.8%가 전반적인 경영상황이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경영상황이 어려워진 주요원인은 「내수침체」(70.4%), 「업체간 과당경쟁」(31.0%) 등으로 나타났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