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는 자넷 옐런 미국 FRB의장/FRB 홈페이지 | ||
[일요주간= 김슬기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이하 연준)가 금리 추가 인상을 단행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이 미칠지 주목된다. 특히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부채 리스크 등 국내 실물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AP통신 등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현지시간 기준 15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한 0.75~1.00%로 결정했다. 이번 금리인상은 연준이 작년 12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뒤 처음이다.
FOMC는 이날 성명을 통해 “물가가 연준의 중기목표인 2%에 근접했다”며 “노동시장이 지속적으로 튼실하고 경제활동 역시 완만한 속도로 확장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미국경제가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 주식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 정책 금리 인상은 채권 등 다른 투자처로 발길을 옮길 유인을 작용하면서 주식시장에 악재로 작용해왔지만 이번엔 다른 상황이 예상된다.
옐런 연준의장은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면서 “경제의 개선세가 이어진다면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지속할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는데 이 자신감이 국내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된다는 것.
실제로 코스피는 미국 금리 인상에 2150선을 돌파하며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16일 오전 10시 30분 기준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날 보다 0.74% 오른 2148.75를 기록 중에 있다.
하지만 금리 인상에 따른 자금이탈과 가계부채 리스크 등 국내 실물경제에 끼칠 부정적인 영향도 고려해야한다는 지적이 따르고 있다.
먼저 이번 미국 금리 인상으로 국내에 유입된 외국계 자본이 고금리를 따라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외국계 자본이 대거 이탈하게 되면 환율의 변동폭이 커져 국내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신흥국의 경기둔화 또한 국내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미국 금리 인상은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의 경기 둔화를 가져올 수 있는데 수출에서 신흥국 의존도가 57.5%에 달하는 한국 또한 이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게 된다는 것.
특히 1,3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에는 다시 적신호가 들어왔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지난해 말 1,344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문제로 꼽히는 건 변동금리 대출이다. 현재 은행권 가계대출에서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작년 말 기준으로 43%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변동금리형이거나 고정금리+변동금리인 혼합형이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은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가계가 추가로 내야할 이자 비용은 9조원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저신용자, 다중채무자, 영세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이 금리 상승으로 인해 받을 충격이 크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한은은 10개 신용등급 중 7∼10등급인 저신용 차입자의 대출 중에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80% 이상일 것으로 예상했다.
개인신용평가사인 나이스평가정보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5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는 101만 7,936명이었다. 이는 2012년 말보다 5.0%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이날 서울 정부청사에서 합동 리스크 점검회의를 진행했다.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미국 금리인상 이후 글로벌 시장동향 점검과 미국 금리인상이 한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향후 금융시장 대응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은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우리 경제·금융시장의 뇌관인 가계부채가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는 것”이라면서 “특히 최근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겠다. 특히 제2금융권에 대한 현장점검 및 리스크관리 강화를 보다 철저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