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박민희 기자] 연이은 차량 화재 사고와 10만여대 리콜에도 요지부동이던 BMW코리아가 뒤늦게 사과했다. 하지만 올해에만 30여대의 BMW 차량이 화재로 전소되는 등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피해자들이 집단소송에 나서자 차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늑장사과에 나선 게 아니냐는 따가운 시선이 지배적이다. 아울러 국토교통부와 전문가들이 BMW의 화재 원인 조사 내용에 대해 은폐 의혹 등 각종 의문을 제기하자 수습차원에서 사과를 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BMW측이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대국민사과를 한 이후에도 BMW의 결함 은폐 의혹 가능성을 제기되는 등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지난 6일 국토부는 “BMW코리아 대표 및 본사 임원진과 면담을 갖고 화재사고에 따른 리콜과 관련해 BMW측에 자료제출이 미흡한 점을 언급했으며 추가적인 자료제출 요구에 책임있는 자세로 임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토부는 △이번 리콜대상 차량의 구체적인 화재 발생원인과 리콜 지연사유 △실효성 있는 대책 수립 △안전진단 후에도 리콜 단축대책 실시 △최근 발생하는 가솔린차량의 화재에 대한 입장 및 대책 제시 △소비자보상 등 피해 구제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BMW측에 촉구했다고 전했다.
같은날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이은 화재사고로 인해 고객과 국민 여러분께 불안과 심려를 끼친 데 대해 진심으로 송구하며 머리숙여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또 “독일 본사도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깊이 인지하고 있으며 사태 해결을 위해 경영진이 매일 상황을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BMW 독일 본사의 요한 에벤비클러 품질관리부문 수석부사장을 포함한 4명의 책임자가 참석해 이번 화재사고의 발생원인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에벤비클러 부사장은 소프트웨어 결함 가능성을 부인하며 원인은 EGR(배기가스재순환장치) 쿨러의 결함이라고 주장했다. EGR쿨러와 모듈에서 냉각수가 유출돼 이것이 침전물을 형성했으며 이로 인해 쿨러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고온의 배기가스가 플라스틱 부품에 불을 붙였다는 것이다.
이날 김 대표는 “안전진단을 포함해 리콜까지 가용한 모든 인력을 동원해 속도를 높이겠다”며 “안전진단 후에도 화재가 발생할 경우 동급의 신차로 교환해 드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조속히 안전진단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이날 기자회견 이후에도 국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이렇다 보니 늑장 조치와 늑장 사과에 대한 비판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BMW는 10만여대의 차량에 대해 리콜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지 11일이 지나서야 사과에 나섰다. 또한 화재 사고가 처음 발생한 이후 3년여의 시간동안 미온적으로 대처하다 단기간 많은 화재가 발생한 최근에 들어서야 리콜 계획을 발표하는 등 지지부진한 태도를 보였다.
고객의 분노와 불안감은 커지는데 늑장 사과에 이어 ‘이상 발생 시 차를 멈추고 신속히 안전진단을 받아라’ 등의 부실한 대응 방안으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7일 밝혔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제조사가 고의적으로 불법행위를 한 경우 피해자에게 입증된 재산상 손해보다 훨씬 큰 금액을 배상하게 하는 제도다.
이같은 제도의 도입이 검토된 배경에는 BMW측이 정부기관의 자료요구에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한데다 리콜 제도의 한계가 드러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자동차회사에 대해 리콜 관련 자료 제출 기준을 강화하고 부실자료 제출시 처벌 규정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결함을 은폐,축소하는 경우 매출액의 1%까지 과징금을 부과하는 법전 근거도 마련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