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규모, 관광공사 2000억.현대아산 1조5000억.고성군 3616억원 추정

[일요주간=구경회 기자] 최근 10년간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인한 피해액이 2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면서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1일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관광공사, 현대아산, 강원도 고성군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인한 피해액 관련 자료를 발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금강산 관광은 지난 2007년까지 한해 34만명이 넘는 관광객이 다녀갈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그러나 2008년 7월11일 우리나라 측 관광객 박왕자 씨가 해안가를 산책하다 북한군의 총에 맞아 사망한 후 관광이 중단됐고 이후 남북관계가 극도로 나빠지는 등 관광은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한 한국관광공사의 피해액은 2000억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관광공사는 통일부 남북협력기금에서 900억원을 대출받아 현대아산 소유의 온천장에 355억원, 문화회관에 300억원, 온정각에 245억원 등을 투자했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 중단 이후 온천장과 문화회관, 온정각 동관 면세점은 북측에 몰수됐고 온정각 서관은 동결된 상태다. 관광공사는 이 같은 900억원 자산이 몰수·동결된 상태에서 오는 2021년까지 원금과 이자를 포함해 1069억원을 상환해야 되는 부담을 지고 있다.
현대아산은 금강산 관광 중단 이후 약 1조5000억원의 누적 매출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자체 추정하고 있다. 현대아산의 매출은 2007년 2555억원에서 2016년 911억원으로 급감했다. 또 2008년 적자로 전환한 이후 단 한번의 흑자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금강산 일대에 토지임대, 개발 사업권 등의 명목으로 4억8000만달러(약 5414억원), 시설투자로 2268억원을 쏟아 부었다. 금강산 관광 중단 당시 1084명에 달했던 현대아산의 임직원은 현재 157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강원도 고성군의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월 평균 32억원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금액으로 계산해보면 2017년 말 기준 손실 추정액은 3616억원에 달한다. 고성군은 금강산 관광 중단 전인 2004~2007년 연평균 관광객이 690만명이었으나 2008~2014년 478만명으로 212만명 감소한 통계를 토대로 이 같은 손실을 추산했다.
김 의원은 “지난 10년간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인한 우리의 경제적 손실액이 2조원을 넘어섰다”면서 “한반도 평화와 남북교류의 상징인 금강산 관광은 재개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