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pixabay]](https://www.ilyoweekly.co.kr/news/data/20190116/p179569963918964_498.jpg)
[일요주간=이상현 기자] 독창적이고 특화된 고객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소매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오프라인 매장은 물론 온라인 채널과 유통센터(distribution center)에서 클라우드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의 사용이 빠르게 늘고 있다.
하지만 관련 신기술 채택은 아직 25%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글로벌 IT 인프라 솔루션 업체 버티브의 '미지의 영역으로: 리테일 트렌스포메이션과 그것이 디지털 인프라에 미치는 영향(Into Uncharted Territory: Retail Transformation and its Impact on Digital Infrastructure)'이라는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소매업체 중 약 25%는 클라우드, IoT, 빅데이커 등 신기술을 자신들의 사업에 채택하고 운영전반에 통합적인 고객 환경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여전히 뒤처져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버티브와 데이터센터다이나믹스(DatacenterDynamics)가 공동후원한 이번 조사의 응답자 중에는 결합 연 매출 규모가 9530억달러인 세계에서 가장 큰 소매기업 50개사의 임원들이 포함돼 있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고객들의 행동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신들의 디지털 자원과 역량을 혁신함에 따라 온라인 소매 부문이 크게 강화됐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향후 2년 동안 온라인 소매 전용 데이터센터 시장은 사내와 코로케이션 모두 최대 20%까지, 클라우드 호스팅은 스토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33%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소매 디지털 진화의 주요 내용 중에는 유통센터의 대대적인 변혁이 포함된다. 이번 조사는 소매 회사들이 온라인 구매에 대한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신들의 사업 방식을 재편성함에 따라 향후 2년 동안 유통센터와 물류 창고 수가 약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통과 물류에 특화된 전용 데이터센터 공간의 양은 10%까지, 유통을 지원하기 위한 클라우드 호스팅 이용은 87%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보고서는 예측했다.
루카스 베란 IHS 마킷(HIS Markit)의 데이터센터 인프라 담당 분석가는 "보다 비즈니스 크리티컬한 온라인, 유통, 매장 내의 환경들이 향상됨에 따라 IT 안정성을 높이고 제품 출시 속도를 단축하며 비용을 줄이고 관리 복잡성을 완화할 수 있는 물리적 인프라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고객에게 보다 즉각적으로 응대하고 활용 시점에 더욱 영향을 줄 수 있는 엣지 컴퓨팅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컴퓨팅 역량이 매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줬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소매업체들은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구매결정 현장에 보다 가까운 곳에서 고객에 영향을 주기 위해 점점 더 많은 IT 설치공간을 매장으로 옮길 것"이라며 "향후 2~3년 동안 매장으로 들어가는 핵심 데이터센터에 소비되는 모든 비용의 약 2배가량이 매장과 유통 부문에 분배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